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82
- 영문명
- The Qualitative Meta Analysis of Attributes i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강미라(Kang, Mi-Ra) 원효헌(Won, Hyo-He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211~2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마을교육공동체의 활성화 및 형성, 운영에 초점을 맞춘 12개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으로는 주체성, 공동체성, 리더십공유, 실천성, 지역성, 전문성, 공공성, 지속성, 지원적 환경이 도출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핵심 속성은 지속성으로 이는 아이-부모-교사, 마을, 공동체의 미래지향적 성장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동체성과 주체성, 실천성이 모든 연구물에 언급되며 주요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지원적환경에 대한 언급은 비교적 적었으나 현재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속성 및 지속성장을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ies focusing on the activation, formation, and oper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ttribute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ere identified as identity, community, shared leadership, practicality, locality, expertise, publicness, sustainability, and a supportive environment. The core attribut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sustainability, which is revealed to be the future-oriented growth of children, parents, teachers, villages, and commun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measures for sustainable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The Impact of CEFR Basic User Level Text Complexity on Elementary School Learners’ English Comprehension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교육에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의미
- 영어수업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역량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