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Predicting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박서현(Park, Seo-Hyun) 이경진(Lee, Kyoung-Ji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135~1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로 취학 전의 어휘와 형태소인식(Time 1), 초등학교 1학년의 단어읽기와 읽기유창성이 읽기이해(Time 2)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1, 2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아동 67명을 대상으로. 어휘와 형태소인식을 검사하였고(Time 1),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를 검사하였다(Time 2). 연구에 투입되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읽기이해에 따른 집단 간 변인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하였다.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읽기이해와 예측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아동의 읽기이해에 따라 어휘, 형태소인식, 단어읽기, 읽기유창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읽기유창성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강력한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논의 및 결론: 취학전 아동의 어휘, 단어읽기, 형태소인식과 초등학교 1학년의 읽기유창성이 초등학교 1학년의 읽기이해와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밝히며 읽기교육 및 읽기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to examine how vocabular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of kindergarten(Time 1) and word reading and reading fluency of first-year(Time 2) affect reading comprehension(Time 2). Method: A total of 67 children were participated both Time 1 and Time 2. At the Time 1 vocabular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examined at the Time 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were conducted and th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reading comprehensive level of first graders. Third, the reading fluency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There were that vocabulary, word reading,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fluency are closely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in first-year students. The result presents direction and guidance for read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