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5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conomic-Life Competence by Money Frame: Focusing on G Universit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진숙(Kim, Jin-Sook) 강상희(Kang, Sang-Hee) 이수천(Yi, Soo-Che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41~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대학생들의 ‘경제생활역량’을 진단하고 ‘경제생활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였음. 연구방법: 머니 프레임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경제생활역량’을 진단하였고, 머니 파워의 결과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결과: 개인 요인(성별, 나이, 학년, 용돈, 저축/투자, 기부/나눔, 자력수입)과 가정 요인(어머니 직업, 가족간에 재정대화), 경제교육 요인(경제 관련 교육 경험, 처음 교육받은 시기, 가정의 경제 관련 교육, 경제 콘텐츠 이용률, 이용 콘텐츠), 경제생활 요인(재정 위기경험, 수입과 지출에 대한 인식, 소비지출 기록, 저축, 저축상품 이해, 예산수립, 금융정보 소스, 은퇴 재무설계, 금융 신뢰)와 같은 요인들이 ‘경제생활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음. 논의 및 결론: 가정에서부터 경제관련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문화 정착의 방안과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의 현실화 방안이 필요함.
영문 초록
Purpose: The Economic-lif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and variables affecting these competencies were analysed. Method: Economic-life competencies were measured using the Money-Frame Scale, 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various factors affecting money power,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Personal factors (gender, age, grade, pocket money, savings/investment, donation/sharing, self-income), Family factors (mother's occupation, financial conversation at home), Economic education factors (economics-related education, time of first economic education, economics-related education at home, economic content usage rate & contentd), Economic life factors (financial crisis experience, awareness of income and expenditure, consumption expenditure records, savings, understanding of savings products, budgeting, financial information sources,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financial trust) have been shown to increase Economic-life competencies.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the culture that allows economics-related education at home and a plan to make practical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