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이용수 206
- 영문명
- A Study on Preliminary Items for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Development in Digital-based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이승민(Lee, Seung-Min) 전중원(Jeon, Joong-W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235~2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문항을 선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다지털 기반 학습 환경 및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정의와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을 학습자가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디지털 학습을 지원할 수 있으며, 스스로 학습 상황을 인지하며,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 전반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측정 도구의 구성 요인을 5개 영역으로 구성하고, 32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개념과 속성을 디지털 기반의 학습 환경이라는 맥락적 상황을 고려하여 재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같이 저연령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교육 전반에서 변화한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for creating a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The research involves analyzing prior studies on digital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efine and identify factors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ir digital learning experiences. Preliminary items were then selected and validated for content. Results: Self-regulated learning in a digital environment is defined as the process where students use digital tools to support their learning, become aware of their learning situations, and independently regulate various aspects of their learn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five areas with 32 preliminary items.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s to reframe the traditional concept of self-regulated learning within the context of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It focuses on developing a scale for self-regulated learning applicable to younger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