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이용수 188
- 영문명
- Exploration and Change of Creative Personality Types in Adolescents: Application of LCA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전혜영(Jeon, Hye-Y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261~2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긍정적 창의적 성격에 따른 그룹을 나누어 특징을 분석하여 긍정적인 창의적 성향을 발현할 수 있는 개인적인 노력, 환경적인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KCYPS 2018 2차웨이브 1차, 5차 자료를 사용하여 창의적 성향, 그릿,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변인, 친구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을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과 평균차이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의 창의력은 ‘혜안력’, ‘개방적 태도’, ‘잠재된 능력’ 으로 분류되고, 고등학교 2학년의 창의력은 ‘신중한 태도’, ‘총명성’, ‘다재다능’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혜안력’, ‘잠재된 능력’ 집단은 고등학교 2학년 때 ‘다재다능’ 집단에 속하게 되는 비율이 높고, ‘개방적 태도’ 집단은 고등학교 2학년 때 ‘신중한 태도’ 집단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패턴과 특징을 파악하여 어떠한 심리 및 교육적 접근을 취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divided first-year middle school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positive creative personalities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to identify personal effort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an lead to positive creative tendencies. Method: Using the 1st and 5th waves of the KCYPS 2018 2nd wave, latent class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creative tendencies, grit, self-esteem, parenting variables,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sults: The creativity of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as ‘vision’, ‘open attitude’, and ‘latent ability’, while the creativity of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as ‘cautious attitude’, ‘intelligence’, and ‘versatility’.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creative personalit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middle school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discussed what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pproaches should be tak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