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이용수 200
- 영문명
- Demands for Improvement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표윤희(Pyo, Yun-Hui) 고혜정(Koh, Hye-Jung) 박재국(Park, Jae-Koo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329~3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지원요구 관련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장애대학생의 교육복지지원을 강화하는 방안과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인 10명의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개의 범주, 5개의 상위주제,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교육복지지원의 의미, 교육복지지원의 영역별 경험과 개선방안 범주로 분류되었다. 논의 및 결론: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대학생의 교육복지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support need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based on this, to suggest ways and implications to strengthen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0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 categories, 5 super-topics, and 15 sub-topics wer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meaning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experience and improvement plan for each area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