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이용수 83
- 영문명
-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Engineering Education: an Explorative Case Stud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민정욱(Min, Jung-Wook) 정현주(Jeung, Hyun-Ju)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309~3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습 경험 설계(LXD)가 공학교육에 적합한 대안적 수업 설계 방식이라 가정하고 그 수업 사례를 선정하여 설계 과정 및 운영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대학 교육 특히 공학 전공 수업에서 학습 경험 설계 사례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단일 사례 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공학 교육의 특성을 드러내는 전자기학 과목을 사례로 Thurber의 LXD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수업의 교수자는 문헌에 나타난 양질의 학습 경험 디자인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LXD를 위한 학습개입을 개발하였고, 그것이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공학 전공 수업은 물론 일반 수업에서 LXD 수업 설계의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ssumed that learning experience design could be a relevant alternative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so it aimed that a selected case of one was explored in its design process and implication effects. Method: A single case study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since the case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in an engineering class has been a few. The electromagnetics clas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education, was se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e Thurber’s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ecturer for the adopted case developed learning interruption inclined to the qualifie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the literature and thi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learners’ motivation on the subject. Conclusion: A number of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ystem and support to expand LXD in general classes as well as engineering classes were given.
목차
Ⅰ. 서론
Ⅱ. 학습 경험 디자인 개념과 접근 방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