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이용수 126
- 영문명
- Development of prototyp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Design Thinking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영재(Kim, Young-Jae) 강문숙(Kang, Mun-Suk) 박수홍(Park, Su-H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1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분석 및 사례분석, 요구조사, 전문가 인터뷰(FGI)를 하였다. 연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개별면담, Likert 5점 척도와 CVI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의 인공지능교육프로그램의 개념적 모형과 절차적 모형에 대한 타당성 결과는 개념적 모형과 절차적 모형의 CVI 평균값이 부족하였다. ‘이해도’와 ‘타당성’ 영역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FGI참여자 CVI 측정에서 내용타당도가 개선되었다. 최종 프로토타입 형태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서 개념적 모형, 절차적 모형은 내용타당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한 특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프로토타입 형태의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을 일반적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성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an elementary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Method: To this end, core values and design principles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Design Thinking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case studies, and demand surveys. Results: As a result, the content feasibility was improved in the CVI measurement of the secondary FGI participant.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First, this study is the prototype development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earcher's intention was to develop a prototype-typ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and help it be used in the field quickly. Second, this study was not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I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m of prototypes that measured effectiveness or improvement in the specific competence of learners or professors through the program. Therefore, the contents and areas of AI education used in this study were reconstructed based on foreign cases and the results of AI curriculum research conducted so far. Conclusion: Therefore, if a formal curriculum for AI education is presen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final form of AI education programs based on Design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례를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터 개선방안 탐색
-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혁신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맥락 탐색
- 마을교육공동체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공학교육에서 학습 경험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앵커 창직교육프로그램 모형 설계
- 장애인 평생교육 코디네이터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이 경험한 교육복지지원 실태 및 개선 요구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 디자인씽킹 기반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이해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연구
-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유형 탐색과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