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이후 일본인 사자(死者)를 둘러싼 위령(慰靈)의 정치

이용수 45

영문명
The Politics of Comforting the Spirits of Deceased Japanese After the liberatio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성혜진(Seong Hyejin) 신종대(Shin Jongda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1호, 609~6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산은 해방 이후 한반도 지역에서 재조 일본인 사자(死者)를 남겨두고 갈 수 있는 최후의 보루로, 귀환자들은 언젠가 부산에서 유골과 위패 수습을 기약하며 떠난다. 한편, 한국전쟁으로 인해 부산에는 피란민들이 아미동 일본인 묘지 위에 집을 짓고 살게 된다. 이들은 생존을 위해 묘지 위에 집을 짓고 살면서도 각자의 방식과 의례를 통해 각각의 일본인 사자들을 집단적인 '객사자'로 취급하며 의례를 통해 위로하고 있었다. 휴전 이후, 부산은 도시 정비를 위해 아미동의 일본인 유골과 위패를 한곳에 모아 일본인 위령비를 건립한다. 이 시기에는 한국 내에서도 일본인 유골 처리 문제에 대한 인식이 생겨난다. 당시 김현옥 부산시장은 일본인 비를 통해 '인도주의'와 '정치적 사안'을 동시에 고려했다. 서울로 부임한 김 시장은 또다시 일본인을 기리는 위령탑 건립에 다시 관여했지만, 서울시민들의 강한 반발과 저항에 직면하여 일본인 위령탑은 철거하고 유골은 일본으로 이송된다. 서울시와 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일본인 위령탑을 세웠다고는 하나, 이는 명분이 모호한 대외정책으로, 역설적으로 국민감정을 고려하지 않은 위령의 정치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에는 부산의 전(前) 일본인 세화회(世話會) 직원인 마루야마 헤이치(丸山兵一)가 해방 직후 일본인 유골에 대한 수습 사실을 일본 전국의 유족 관계자에게 알리며, 부산시와 한국 정부에 구 묘지 방문과 합동 위령제 등을 요청한다. 결과적으로 마루야마의 염원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현재는 개별적으로 가족의 흔적을 찾기 위해 일본인들이 아미동 비석마을을 방문하고 있다. 한일회담에서도 유골 문제가 주요 사안에서 제외되었으며, 국교 수립 이후에는 재한 일본인 부인의 본국 귀국 문제가 우선시 되었다. 일본인 사자는 부산시 영락공원에 있는 일본인 위령비 아래에서 위패로 안치되어 있으며, 그 관리는 재한 일본인 부인들의 모임인 부용회가 맡았다. 양국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일본인 사자를 위한 위령이라는 정치적 메커니즘을 가동하며, 국가 간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써 일본인 사자 문제를 다루었다. 그러나 아미동 마을 주민이나 일본인 유족, 부용회와 같은 민간인들은 일본인 사자 문제를 거주지, 혈연, 망향 등과 같은 개인과 연관성이 있는 문제로 인식하며 위령을 이어가고 있다.

영문 초록

After liberation, Busan became the final bastion for preserving the remains and memorial tablets of Japanese individual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descendants left Busan with the hope of recovering them someday. Meanwhile, during the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built homes on a Japanese cemetery in Ami-dong for survival. They built a house on the cemetery to survive in front of them, but through their own methods and rituals, they collectively treated each Japanese deceased as an “having died in a foreign land” and comforted them through rituals. After the ceasefire, Busan erected a memorial monument for Japanese people by gathering Japanese remains and tablets in Ami-dong as part of the city's renovation efforts. During this period, awareness of the issue of Japanese remains disposal was also heightened in Korea. At that time, Busan Mayor Kim Hyun-ok considered both “humanitarianism” and “political issues” in relation to the Japanese monument. However, after Mayor Kim was appointed to Seoul, he becam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monument for the Japanese. Faced with strong opposition and resistance from Seoul citizens, the monument was dismantled, and the remains were repatriated to Jap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 erected a monument for Japanese on a humanitarian level. However, this serves as a case of foreign policy with ambiguous justification. Paradoxically demonstrating a political approach to memorializ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public sentimen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 established a Japanese memorial monument on humanitarian grounds, but paradoxically, it showcased the Korean government's broad diplomacy as “humanitarianism,” neglecting public sentiment entirely.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eichi Maruyama, a former Japanese Sehwa Association employee in Busan, and informed the bereaved family officials across the country of the recovery of Japanese remain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asked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Korean government to visit the old cemetery and hold a joint memorial service. Maruyama's wishes have not been fulfilled, but since then, Japanese people have been visiting the tombstone village in Ami-dong to find traces of their families individually. During the Korean-Japanese Conference, the issue of remains was excluded from the main agenda.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t was overshadowed by Japanese wives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Now, it is enshrined as a memorial tablet under the Japanese memorial monument in Yeongrak Park in Busan. The management of memorial monuments and services is overseen by Bu Yong-hoe, a group of Japanese wives in Korea. Both countries implemented a political mechanism called a memorial for Japanese deceased for political gain and addressed the Japanese deceased issue as a means for national benefit. However, civilians, such as Ami-dong villagers, Japanese bereaved families, and Bu Yong-hoe, persist in commemorating the Japanese deceased issue, recognizing it as a matter of personal connection, such as residence, blood ties, and hometown.

목차

Ⅰ. 서론
Ⅱ. 재조 일본인 사자(死者)의 망향(望郷)
Ⅲ.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일본인 사자(死者) 처리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혜진(Seong Hyejin),신종대(Shin Jongdae). (2024).해방 이후 일본인 사자(死者)를 둘러싼 위령(慰靈)의 정치. 인문사회과학연구, 25 (1), 609-630

MLA

성혜진(Seong Hyejin),신종대(Shin Jongdae). "해방 이후 일본인 사자(死者)를 둘러싼 위령(慰靈)의 정치." 인문사회과학연구, 25.1(2024): 609-6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