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관련된 판례에 대한 고찰
이용수 18
- 영문명
- Jurisprudence on the likelihood of confusion of trademarks: focusing on the recent judgments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진엽(Jinyup Kim)
- 간행물 정보
- 『명지법학』제22권 제2호, 77~1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표의 본연의 기능은 특정 주체가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상업적 출처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업자를 보호하고 이와 함께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게 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상표간의 혼동가능성이 발생할 경우 특정 상표를 소유하고 있는 상표권자는 이로 인해자신의 사업에 손해를 볼 수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자신이 구매하려고 하지 않았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에서는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 다수의 판결에서심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관한 유럽연합에서의 논의동향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뒤, 유럽연합 사법재판소의 혼동가능성에 관한 최근 주요 3개 판결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즉, 관련 사건들에서 동 재판소가 다루었던 주요 쟁점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및 재판소가 어떤 입장을 견지하였는지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판결들이 어떤 점을 시사하고있는지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문 초록
The essential function of trademark is to distinguish the goods and services of one undertaking from those of other undertakings. However, if likelihood of confusion between the two trademarks occurs, that could trigger damage to the proprietor of the earlier trademark while customers cannot purchase goods or services they want.
Accordingly, domestic courts in many jurisdictions have given verdicts on this important issue and particularly,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also has handed over some relevant rulings.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like to focus on judgments on the likelihood of confusion in the CJEU, analyzing main points and issues of the rulings. On that basi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controversial and important issues in those rulings.
목차
Ⅰ. 서론
Ⅱ. 유럽연합 상표법에 대한 개관 및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관한 유럽연합 및 기타 국가들에서의 논의동향
Ⅲ. 유럽연합 사법재판소의 주요 판결분석
Ⅳ. 관련 판결의 소결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지법학 제22권 제2호 목차
- 아동에 대한 정서적 학대행위의 형사처벌에 관한 소고
- 투표보조인제도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 美 해외투자안보심사제도 도입의 주요 쟁점 및 전망
- CPTPP投资准入自由化条款研究
- 저작물의 새로운 이용 방법과 저작권의 귀속
- 라이프니츠(GottfriedWilhelmLeibniz)의 법사상
- 독일에서 직무발명 보상의 산정 및 그 기준
- 백지문서와 민사소송법 제358조 추정
- 디지털 시대 프라이버시권의 주요 쟁점에 대한 고찰
- 중국 사이버안보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 민법상 조건과 불확정기한의 구별기준
- 이스포츠 선수의 권리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 연구
- 변호사법 제31조 제1항 제1호 위반 소송행위의 효력 및 배제방법
- 하도급법상 기술자료 보호에 관한 연구
- Borderlines of Home Privacy Against Warrantless Home Entries under the United States Criminal Procedure
-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된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와 원소유자의 법률관계
- 조달계약과 불공정 조달행위로 인한 부당이득 환수
- 행정구역 획정원리로서의 공유수면 매립지 경계획정 원리에 관한 일고찰
-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관련된 판례에 대한 고찰
- A Short Examination of the Measures to Protect a Commercial Building Lessee’s De Facto-Marriage Spouse After His or Her Death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