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에서 직무발명 보상의 산정 및 그 기준
이용수 52
- 영문명
- Invertor compensation in Germany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영규(Young-Gyu Park)
- 간행물 정보
- 『명지법학』제22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발명진흥법상 정당한 보상을 산정하는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직무발명에 의하여 사용자 등이 얻을 이익과 그 발명의 완성에 사용자 등과 종업원 등이 공헌한 정도, 직무발명의 상업적 이용가능성, 기업체 내에서의 종업원의 직무 및 직위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례에서 적용되어야 할 통일된 기준 혹은 명확한 기준은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독일에서의 실시료 유추 방법, 사용자 이익 방법, 단순한 추정 방법을 통한 발명의 가치 산정, 기여도, 보상의 산출 방법 및 지급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독일에서도 여전히 직무발명 보상의 산정 방법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불확실하다는 점, 보상의 척도가 실제의 실시 실적이 아니라 상업상 실시가능성, 즉 발명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발명 신고 후 형식적인 최저 보상을 하고, 신고 후 단순히 저장 특허와 같이 실제로 활용됨이 없이 특허유지 비용 등이 소요될 뿐인 발명 등에 대해서는 보상하지 않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사용자와 종업원의 이익 조정이라는 관점에서, 독일에서의 실시료 유추 방법, 사용자 이익 방법 혹은 단순한 추정 방법 등을 포함하여 보다 명확한 발명의 가치 산정 방법, 기여도 산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In Germany, company employees who make invention during the term of their employment, so-called “service inventions”, are subject to the German Act on Employee Inventions, which regulate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both employees and employers. There are statutory guidelines as to the amount of compensation the inventor should be paid. The compensation due to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standard formula V = E x A, where V is the annual compensation, E is the so-called “invention value”, and A is the so-called employer’s “share factor” in the invention. First of all the invention value E is calculated. Generally this is assessed using the licence analogy. Secondly, the so-called share factor A is decided on a points’ basis.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surrounging the task which led to the invention, how the problem was solved, and the employee’s tasks and position in the company.
목차
Ⅰ. 서 론
Ⅱ. 직무발명 보상과 관련된 규정 및 지침
Ⅲ. 직무발명 보상의 산정과 기준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지법학 제22권 제2호 목차
- 아동에 대한 정서적 학대행위의 형사처벌에 관한 소고
- 투표보조인제도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 美 해외투자안보심사제도 도입의 주요 쟁점 및 전망
- CPTPP投资准入自由化条款研究
- 저작물의 새로운 이용 방법과 저작권의 귀속
- 라이프니츠(GottfriedWilhelmLeibniz)의 법사상
- 독일에서 직무발명 보상의 산정 및 그 기준
- 백지문서와 민사소송법 제358조 추정
- 디지털 시대 프라이버시권의 주요 쟁점에 대한 고찰
- 중국 사이버안보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 민법상 조건과 불확정기한의 구별기준
- 이스포츠 선수의 권리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 연구
- 변호사법 제31조 제1항 제1호 위반 소송행위의 효력 및 배제방법
- 하도급법상 기술자료 보호에 관한 연구
- Borderlines of Home Privacy Against Warrantless Home Entries under the United States Criminal Procedure
-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된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와 원소유자의 법률관계
- 조달계약과 불공정 조달행위로 인한 부당이득 환수
- 행정구역 획정원리로서의 공유수면 매립지 경계획정 원리에 관한 일고찰
- 상표의 혼동가능성에 관련된 판례에 대한 고찰
- A Short Examination of the Measures to Protect a Commercial Building Lessee’s De Facto-Marriage Spouse After His or Her Death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