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개선 방향
이용수 1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tection System for Educational Activities for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주민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4卷 第2號, 439~4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recent media reports on the infringe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are serious concerns about whether our children are living in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This is the worst situation in which not only teachers' classes but also life guidance in the class itself becoming almost impossible in serious cases. Why are w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infringement of teaching rights and discuss its improvements? This is because when an incident occurs, a situation in which normal educational activities are not carried out unfolds. This leads to a vicious cycle in which the majority of students' right to learn and human rights are hindered. In the future, social concerns about the seriousness of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and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toring teaching authority should be prioritized. However, separating the student group and the teaching group into opposing relationships and polarizing them in an ideological biased way or political logic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right to study” is fading in the school field we are currently experiencing. In order to protect teaching rights, the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but confusion in the educational field has not been resolved. It is clear that schools are spaces that require the publicity of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develop a cooperative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esteem and human rights. The protection of teaching rights should be promoted realistically through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nd policy sup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subject. It should be known that all our students' right to learn is guaranteed and a pleasant school life can continue only wh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stabiliz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활동 침해 요인
Ⅲ.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제도적 한계 및 개선 필요성
Ⅳ. 교육활동 관련 법적 분쟁의 심화 및 대응 방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학연구 第34卷 第2號 목차
- 헌법상 가족 개념의 변화와 동성혼에 관한 논의
- 독일의 연방 문화유산법제에 대한 고찰을 통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제 개선에의 시사점
- 탐정의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위반문제에 관한 연구
-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에 대한 고찰
- 미국 의회의 입법적 거부권에 관한 연구
-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행 문서제출명령 제도 보완에 관한 소고
- 최근 판례를 통해 본 명예훼손죄의 쟁점과 시사점
- 자동차대여업자의 운행자성
- 중국법상 계열회사와 기업집단의 입법문제와 한국 경험의 의의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전환권 행사로 발행된 신주에 관한 신주 발행의 무효 사유와 무효 사유에 따른 쟁송 방법
- 가해법인 및 피해법인에 공통된 사실상 대표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법인의 손해배상책임 인정여부
-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 점유의 자주점유 여부
- 유럽연합 인공지능책임 지침안의 주요 내용, 전망 및 입법적 시사점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개선 방향
-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