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상 가족 개념의 변화와 동성혼에 관한 논의
이용수 112
- 영문명
-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Family in the Constitution and the Same-Sex Marriage: a Comparative Law Perspectiv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이현정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4卷 第2號, 89~11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en societal conflicts rage over an important issue, such as those surrounding same-sex marriage, it is not easy to find a way to resolve them. In terms of democratic legitimacy, it is preferable for parliament to resolve the issue, but if that process does not work and human rights violations continue, the judicial process could resolve complex political issues rather than leaving them unresolved. Court judgments have emerged as a form of civil discourse linking judicial activism, social movements, and human rights movements. Additionally, civil discourse on law, rights, and justice is no longer the exclusive domain of experts because judicial decisions have become a catalyst of democratic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state. Moreover, judicial dialogues play a positive role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democratic institutions. For this reason, the active role of the courts is not incompatible with democratic principles but also enforces the active obligation of the state to address issues such as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caused by delayed political decision-making. The Same-Sex Marriage Act was passed by the German Federal Council (Bundesrat) on July 7, 2017, and was passed by both houses of parliament without constitutional amendments.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role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It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ensuring that the constitutional concept of family is interpreted more dynamically to reflect changing realities and by removing a number of discrimination surrounding marriage. A complete ban on same-sex marriage is hardly a necessary restriction. It is also contrary to the Law of Balancing as it is difficult for a state restricting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to justify the serious harm that same-sex couples would suffer as a result of a complete ban.
목차
Ⅰ. 서론
Ⅱ. 비교법적 검토
Ⅲ. 동성혼을 둘러싼 논의와 가족 개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학연구 第34卷 第2號 목차
- 헌법상 가족 개념의 변화와 동성혼에 관한 논의
- 독일의 연방 문화유산법제에 대한 고찰을 통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제 개선에의 시사점
- 탐정의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위반문제에 관한 연구
-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에 대한 고찰
- 미국 의회의 입법적 거부권에 관한 연구
-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행 문서제출명령 제도 보완에 관한 소고
- 최근 판례를 통해 본 명예훼손죄의 쟁점과 시사점
- 자동차대여업자의 운행자성
- 중국법상 계열회사와 기업집단의 입법문제와 한국 경험의 의의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전환권 행사로 발행된 신주에 관한 신주 발행의 무효 사유와 무효 사유에 따른 쟁송 방법
- 가해법인 및 피해법인에 공통된 사실상 대표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법인의 손해배상책임 인정여부
-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 점유의 자주점유 여부
- 유럽연합 인공지능책임 지침안의 주요 내용, 전망 및 입법적 시사점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개선 방향
-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