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에 대한 고찰
이용수 33
- 영문명
- Reflections on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Focusing on the Compatibility of Modern and Anthropological Concepts of Cultur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오시진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4卷 第2號, 49~8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delves into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as defined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explores its implications. While this right has often been overlooked in the realm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t cannot be ignored from a legal standpoint for states that are signatories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s. As societies progress,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life gains more prominence, and the right of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to partake in cultural life may become a pressing concern. Furthermor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iscussions on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frequently revolve around the rights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is discourse. Lastl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culture must be addressed, especially the need to address traditional cultures that have discriminated against individuals with specific identities, such as women. Hence, it is imperative to scrutiniz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Nonetheless, when delving into the origins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understanding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can be challenging. The definition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outlined in Article 27(1)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and Article 15(1)(a)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CESCR) may not be entirely clear from these treaties. However, by examining other agreements, we can infer that this right encompasses the realms of humanities, arts, popular culture, and modern society.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culture has evolved to consider the rights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necessitating a reinterpretation. It's worth noting that the drafters of the UDHR and ICESCR did not originally consider the rights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Nevertheless, the General Comment on Article 15(1)(a) of the ICESCR indicates a departure from the concept of culture as envisioned in Article 27 of UDHR. This commentary highlights the incorporation of two distinct concepts of culture into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the narrow concept of culture in modern society and the anthropological concept of culture, both of which are analyzed accordingly.
목차
Ⅰ. 서론
Ⅱ. 국제인권법 체계상 문화생활 참여권 규정의 의미와 특성
Ⅲ.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 도입 배경과 그 역사
Ⅳ. 문화생활 참여권의 두 가지 문화 개념과 인류학적 영향
Ⅴ. 두 가지 문화 개념의 대상과 그 법적 함의의 차이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학연구 第34卷 第2號 목차
- 헌법상 가족 개념의 변화와 동성혼에 관한 논의
- 독일의 연방 문화유산법제에 대한 고찰을 통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제 개선에의 시사점
- 탐정의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위반문제에 관한 연구
-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에 대한 고찰
- 미국 의회의 입법적 거부권에 관한 연구
-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행 문서제출명령 제도 보완에 관한 소고
- 최근 판례를 통해 본 명예훼손죄의 쟁점과 시사점
- 자동차대여업자의 운행자성
- 중국법상 계열회사와 기업집단의 입법문제와 한국 경험의 의의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전환권 행사로 발행된 신주에 관한 신주 발행의 무효 사유와 무효 사유에 따른 쟁송 방법
- 가해법인 및 피해법인에 공통된 사실상 대표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법인의 손해배상책임 인정여부
-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 점유의 자주점유 여부
- 유럽연합 인공지능책임 지침안의 주요 내용, 전망 및 입법적 시사점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개선 방향
-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