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Crime Victims: Focusing on the recent discussions in Japan, Sweden, and Finland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정영훈 류병관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4卷 第2號, 193~2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riminal justice procedures have historically been centered on punishment for crimes, and proof and defense of crimes have been key. The ideology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is the principle of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proper procedure, and prompt trial, was also established in this dimension. However, as the interest in criminal law expanded to the area of recovering criminal damage, many academic theories and legislation for this came to fruition. The need for social support for crime victims is also gaining a lot of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UN adopted the SDGs and suggested equal access to justice as on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and recently, “The Kyoto Congress” emphasized the need for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beyond the victim's participation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Legal assistance and assistance from lawyers are essential to enable crime victims to recover to their daily lives. Currently, Korea guarantees this right to victims of crime under a special law. However, the reality is that support for crime victims is insufficient because the types of crimes that can be assisted by lawyers are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crime victims to use the public defender system. Currently, the system stipulated only in the special law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 general corporation, and there should also be legislation for the elderly who are socially vulnerable. In addi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criminal damage,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very of the damage should be secured with the assistance of a lawy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role of public defenders who have suffered criminal damage and prepare a plan that enables legal support from the investigation stage to the process of receiving damages. In order to guarantee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d,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recognizes various rights and operates a system. If so, it is appropriate to provide the same level of support to victims who have been victimized by the accused. Anyone can unintentionally become a victim of a crime, and the cause of the crime is also in the social environment. If so, the state is obligated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so that the daily life, which has been painful due to criminal damage, can be restored to the time before the damage situation. In addition, the prerequisite of such a system is to be able to receive assistance from public defenders.
목차
Ⅰ. 서론
Ⅱ. 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Ⅲ. 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Ⅳ. 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의 개선 방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학연구 第34卷 第2號 목차
- 헌법상 가족 개념의 변화와 동성혼에 관한 논의
- 독일의 연방 문화유산법제에 대한 고찰을 통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제 개선에의 시사점
- 탐정의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위반문제에 관한 연구
- 국제인권법상 문화생활 참여권에 대한 고찰
- 미국 의회의 입법적 거부권에 관한 연구
-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행 문서제출명령 제도 보완에 관한 소고
- 최근 판례를 통해 본 명예훼손죄의 쟁점과 시사점
- 자동차대여업자의 운행자성
- 중국법상 계열회사와 기업집단의 입법문제와 한국 경험의 의의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전환권 행사로 발행된 신주에 관한 신주 발행의 무효 사유와 무효 사유에 따른 쟁송 방법
- 가해법인 및 피해법인에 공통된 사실상 대표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법인의 손해배상책임 인정여부
-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 점유의 자주점유 여부
- 유럽연합 인공지능책임 지침안의 주요 내용, 전망 및 입법적 시사점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개선 방향
-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