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기의 소련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as seen in the Russian film Moving Up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홍상우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6권 제2호, 143~1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ilm Moving Up is one of the Russian blockbusters that succeeded at the box office in the 2020s, with a motif of nostalgia for the former Soviet Union. The story of this work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follows the style of a Hollywood blockbuster almost exactly. In other words, a heroic protagonist with deficiencies overcomes crises and conflicts and solves problems. In the film, a new coach of the Soviet Union's basketball team is appointed, and while he tries to unite with his players, he announces that he will defeat the United States and win the Olympics. His remarks were something no one could have predicted. The second part is the match footage, filmed with great detail, almost documentary-like. And this leads to victory at the 1972 Munich Olympics. Overall, these two narratives are organically intertwined, and the visual depiction is excellent. The game scenes were filmed with multiple cameras to create the excitement and tension in the actual stadium. In fact, the game scenes in the work convey to the audience the same feeling as an actual game broadcast. At the 1972 Munich Olympics, for the first time in 36 years, the American basketball team did not lose to anyone, even to the Soviet team. The most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result of the match was added by the referee at the end. The thing is that it was decided by three seconds. On the one hand, the plot is very cinematic. On the other hand, it only lasts three seconds.
목차
Ⅰ. 서론
Ⅱ.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대 소련의 현실과 애국주의
Ⅲ.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대 소련의 인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평화연구 제6권 제2호 목차
- 2022년 개정 교과과정상 민주시민교육의 의미와 민주주의 역사 활용 가능성
- 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놀이신념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따돌림의 개념과 예방 교육의 실효적 의미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 핀란드 국가핵심교육과정의 역사교육 평가 기준과 실천
-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 러시아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기의 소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