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이용수 83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권미은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6권 제2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betwe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s based on the subject's background variables(grade, gender,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activities, experience in tak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sample of 225 pre-service education teache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pre-service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Howev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s global citizenship were higher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knowledge among the sub-domains of global citizenship.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were different according the major, grade, gend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s experience.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education's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ose in charg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in universities, and will further help develop variou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maj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평화연구 제6권 제2호 목차
- 2022년 개정 교과과정상 민주시민교육의 의미와 민주주의 역사 활용 가능성
- 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놀이신념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따돌림의 개념과 예방 교육의 실효적 의미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 핀란드 국가핵심교육과정의 역사교육 평가 기준과 실천
-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 러시아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기의 소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