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Unification Sensitivity in the Korean Childrean's Literature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저자명
구연주
간행물 정보
『민주평화연구』제6권 제2호, 189~21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wo studies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is to reflect on the existing concept of ‘unification sensitivity’, and the second is to rethink unification sensitivity in terms of ethics and publicness based on this reflection. The three goals of ‘unification sensitivity’ are as follows. First, we feel compassion by experiencing the suffering of others. Second, develop a sense of identification that the pain of others can become your pain. Lastly, this sense is expanded to include social and public ethical sensi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ovided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sensitivity’ education targeti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ince 2000s that featured North Korean immigrants. The possibilities provided are as follows: 1. Through Jo Gyeong-suk's novels, we indirectly experience the lives of North Korean immigrants and recognize their suffering. 2. Through Park Gyeong-hee's novels, we re-recognize the emotions of compassion that have been thought to be different between North Korean immigrants and South Korean children, and compare and contrast ‘my pain’ and ‘their pain’ along the same line. 3. In Jeon Seong-hee’s novels, ‘unification sensitivity’,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personal level(in terms of identification with compassion), is expanded to public sensitivity. Expanding the unification sensitivity mentioned in this paper to ethical sensitivity and the public domain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not only unification education but also unification discourse.

목차

Ⅰ. 서론
Ⅱ. 통일교육에서 ‘통일감수성’의 필요성
Ⅲ. ‘통일감수성’과 현행 통일교육 프로그램
Ⅳ. ‘통일감수성’과 문학교육
Ⅴ. 2000년대 이후 아동·청소년 소설을 통한 ‘통일감수성’ 교육의 가능성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연주. (2023).‘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민주평화연구, 6 (2), 189-217

MLA

구연주.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민주평화연구, 6.2(2023): 189-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