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이용수 98
- 영문명
- The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mage and the Paradigm of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urvey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최장현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6권 제2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cent unification consciousness survey conducted by four unification-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Unification and Peace, the majority of the people prefer inter-Korean unification, the second phase of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plan, rather than the rigid unification goal of one country and one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people expect and are concerned about excessive unification costs, confusion from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conflicts from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differences in order to reach a unified state, the ultimate goal of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Plan.”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global diversification, I don't think there's a need to stick to the image of a unified state as a single state system. Many people prefer the image of inter-Korean union-style unification, which meets nationalist demands, pacifist demands, and pragmatic needs but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differences in unification costs, cultural differences, politics, and ideolo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easiest and most feasible image of unification and to reach social consensus. To this end, unification education must also change its paradigm.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has developed a negative perception of unification by calculating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n the premise of a single state, that is, an ultimate unified state, and reinforcing its image. Now, it is suggested that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to compare the issue of unification costs, socio-economic,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actively promote and educate the benefits of unification on the premise of the image of unification in the inter-Korean union method of peace and coexistence.
목차
Ⅰ. 서론
Ⅱ. 통일 이미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Ⅲ. 평화공존 내지 남북연합
Ⅳ.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평화연구 제6권 제2호 목차
- 2022년 개정 교과과정상 민주시민교육의 의미와 민주주의 역사 활용 가능성
- 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놀이신념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따돌림의 개념과 예방 교육의 실효적 의미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 핀란드 국가핵심교육과정의 역사교육 평가 기준과 실천
-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 러시아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기의 소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