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이용수 96
- 영문명
- North Korean Human Rights Improvement Policy Tasks and Limitations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최정진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6권 제2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interest in the recent government's policy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examine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policies to improv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 order to normalize inter-Korean relations and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earch method, the activities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he content confirmed the government's will to improve human rights for North Korean residents.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requires a change in Kim Jong-un a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h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citizens. The task of human rights issues is that North and South Korea need more than anything to be interested in, understand, and respect human rights, and a sustainable institutional mechanism must be established to improve human rights. Limitations in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clude the lack of access to information on North Korean residents,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South Korean society regard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difficulty of resolving the problem i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o not change, and the human rights issue in North Korea as a negative influence on inter-Korean relations. The point is that it is having an impact.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존 문헌 검토
Ⅲ. 최근 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
Ⅳ. 북한 인권에 대한 과제와 한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평화연구 제6권 제2호 목차
- 2022년 개정 교과과정상 민주시민교육의 의미와 민주주의 역사 활용 가능성
- 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놀이신념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따돌림의 개념과 예방 교육의 실효적 의미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 핀란드 국가핵심교육과정의 역사교육 평가 기준과 실천
-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 ‘통일감수성’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 연구
- 러시아 영화 <쓰리 세컨즈>에 나타난 냉전시기의 소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