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진로학점제의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이용수 42
- 영문명
- An Study on Curriculum Operation Strategies for the Introduction of University Career Developing Credit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우(Sangwoo Park) 강지혜(Jihye K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6호, 351~3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학점제’라는 대학 진로교육과정 체계를 개발하고 이를 제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C대학의 진로교육 관련 구성원들과 논의를 거쳐 1차 진로교육과정 모델을도출하고, 이렇게 도출된 진로교육과정 로드맵과 편성·운영 방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육분야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진로진단’, ‘진로설정’, ‘취업역량개발’, ‘사회진출준비’로 4단계의 핵심목표를 설정하고, 교양 및 전공을 포함한 교과 교육과정, 학생 스스로 진로활동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학점을 인정받는 자율형 교육과정,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진로교육과정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교육과정 로드맵을 편성·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학점제를 고민하고 있는 대학에게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대학의 진로교육과정을 확산하기 위한 진로교육연구에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nstitutionalize a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 called the ‘Career Developing Credit System.’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engaged in discussions with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at University C, resulting in the derivation of an initia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model. To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is derived career education curriculum roadmap and its organiza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two rounds of surveys were conducted with five educational exper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established four core objectives, namely ‘career assessment,’ ‘career planning,’ ‘employment competency development,’ and ‘preparation for social integration.’ It presented a career education curriculum roadmap that combines general and major coursework, student-designed and executed career activities for credit recognition, and co-curricular programs to support these objectives. Secondly, the study provided concrete operational strategies for implementing and running the proposed career education curriculum roadma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im to offer practical guidance to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Career Developing Credit System, as well 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and insights for career education research to promote the spread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목차
- 음악감상과 철학적 사유를 융합한 체험중심의 교양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AGE: Beyond National ideological Interests, Fulfilling the Responsibilities of Civil Association and Cooperating with Asian Partners for General Education
- The KAGEDU : Its History, Struc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ctivities
-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 With the Activities of the Japan Association for College and University Education
-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ChatGPT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by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니체의 교양교육론의 비판적 탐색
- ≪장자≫ 우언을 활용한 고전 교양 수업 설계
-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형상화와 온라인 상담세션을 활용한 비대면수업에서의 영어학습자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 소집단 토론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공감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기초 화학 과목의 개발 및 적용
- 교양 교육 콘텐츠로서 장소 특정적 연극의 가능성
-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일반화학 수업에서의 복합적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의 구성 및 적용사례 연구
-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요인의 교양교육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생성형 AI 사용 경험과 수업 활용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초보적 학술 담론 텍스트의 역량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 대학 진로학점제의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 마이크로러닝 활용 대학 교양 수업 개발 및 수업 만족도 분석
-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인성교육 개발 및 운영 사례
- 교양교육에서 자비명상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성적경고자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본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 대학 교양교과의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