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이용수 4
- 영문명
-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신시아명희(Chong, Cinthia 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6호, 121~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OVID-19 대유행이 대학 신입생의 EFL 교양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연구 도구: 설문조사, 자기 평가 및 학기 말 성적을 분석하여, 2018년도와 2023년도의 대학 신입생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대유행 이후 대학 신입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 및 자신감, 태도, 영어 능력에 대한 자기 인식, 그리고 학업 성적의 변화를 이해하고 EFL 교육 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우선, 2018년에 대유행의 영향을 받지 않은 62명의 대학 1학년 학생들과 2023년에 대학 1학년으로 대학 생활을 시작한 69명의 학생들의 응답을 대조하였다. 본 연구 초기에 코로나 이후의 신입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전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설문과 자기 평가 데이터 분석에서는 2023년도 신입생들에게서 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영어학습에 대한 긍정성이 크게 증가하는 변화가 보였다. 그러나 2023년 신입생들 사이에서도 영어능력과 관련된 자기 평가에서는 극단적인 분포가 나타나면서 그 표준편차가 커졌다.
또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업 성적을 비교한 결과, 2018년과 2023년 신입생 사이에 80점 이상의 고득점을 획득한 학생숫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023년에는 2018년에 비해 낮은 학업 성적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70점 미만(D등급 이하)의 학생 수 증가는 COVID-19 전후 시기에 학습 환경 변화로 인한 학생들이 직면했던 어려움을 가늠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2018년과 2023년 대학 신입생 사이에 명확한 대조가 나타났으며, 2023년 대학 신입생 중에서도 적응 능력이 뛰어난 학생과 어려움을 겪는 학생 간의 차이가 드러났다.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은 교육자와 대학이 다른 방향의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도울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강점을 육성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접근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다시 학교 생활로 돌아온 학생들의 이러한 차이와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EFL learning. Employing a comprehensive research approach, the study utilizes three primary research tools: surveys, self-evalu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grades. The primary objectives are to understand the shifts in first-year college students’ levels of anxiety and confidence, attitudes, self-perceptions on Englis proficiency, and academic outcomes influenced by the pandemic and to contribute valuable insights to the field of EFL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er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contrasts the responses of 62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2018, unaffected by the pandemic during their secondary education period, with those of 69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2023 who experienced the disruptions caused by the pandemic. Contrary to initial assumptions of a negative shift post-COVID-19, the study reveals predominantly positive sentiments in 2023, mark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positivity toward English learning. However, a polarized distribution in self-evaluations emerges, reflecting a significant divergence in students' opinions regard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study further explore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comparing those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n examination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grades reveals that the number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scoring 80 or highe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2018 and 2023 classes.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trend towards lower academic scores in 2023 compared to 2018. Concurrently, multiple factors may contribute, one being the observed increase in absenteeism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of 2023. This suggests a lasting impact, influencing attendance scores, class attitudes and participation, assignment submissions, and even exam performance. The rise in lower academic scores in 2023, particularly those below 70 (D or below), highlights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in the post-COVID-19 era. This underscores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se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period. A clear contrast emerges between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2018 and 2023, as well as among 2023 first-year college students with well-adapted abilities and those facing difficulties.
Recognizing and addressing these distinctions is imperative for educators and institutions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acknowledging and nurturing the strengths while aiding students who require additional assistanc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bridging the gap in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and challenges among students after the pandemic.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목차
- 음악감상과 철학적 사유를 융합한 체험중심의 교양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AGE: Beyond National ideological Interests, Fulfilling the Responsibilities of Civil Association and Cooperating with Asian Partners for General Education
- The KAGEDU : Its History, Struc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ctivities
-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 With the Activities of the Japan Association for College and University Education
-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ChatGPT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by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니체의 교양교육론의 비판적 탐색
- ≪장자≫ 우언을 활용한 고전 교양 수업 설계
-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형상화와 온라인 상담세션을 활용한 비대면수업에서의 영어학습자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 소집단 토론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공감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기초 화학 과목의 개발 및 적용
- 교양 교육 콘텐츠로서 장소 특정적 연극의 가능성
-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일반화학 수업에서의 복합적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의 구성 및 적용사례 연구
-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요인의 교양교육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생성형 AI 사용 경험과 수업 활용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초보적 학술 담론 텍스트의 역량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 대학 진로학점제의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 마이크로러닝 활용 대학 교양 수업 개발 및 수업 만족도 분석
-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인성교육 개발 및 운영 사례
- 교양교육에서 자비명상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성적경고자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본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 대학 교양교과의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