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이용수 27
- 영문명
-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윤우섭(Wooseob Y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6호, 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이란 한 인간이 주체적으로 설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또한 교육은 본질적으로 오늘을 사는 인간이 내일을 살 인간을 양성하는 활동이다. 내일은 현재 우리가 선택한 바탕 위에서 만들어지지만, 미래에 대한 책임은 우리가 아닌 후대가 지게된다. 미래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없으면서도 후대를 교육하여야 한다는 것은 오늘날처럼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대에 교육이 안고 있는 본질적 딜레마다. 교육이 이 딜레마를 극복하는 길은 후대가 직면할 위기와 변화를 극복하고 대처할 힘을 길러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 위기는 크게 보아 평화, 민주주의 및 기후 위기이며, 변화는 직업 세계의 변화다. 교육은 이 위기와 변화를 주제로 삼아, 이 위기를 극복하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질 함양을 도모하여야 한다. 그 자질이란 비판적 사고, 겸양, 도덕적 판단력, 배려, 포용, 소통력, 자기학습능력이며, 그것은 전 생애에 걸쳐 발휘되어야 한다. 그때 비로소 미래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 이 자질 함양은 인간 형성 교육과 시민 교육의 목표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자질 함양은 대학 교양교육의 목표와도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시대는 대학이 더 정교한 교양교육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세계적 위기와 변화는 동아시아에서 더욱 극적으로 나타난다. 때때로 정치, 외교적으로 소환되는 불행한 역사는 이 위기를 증폭시키기도 하며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변수가 되기도 한다. 동아시아의 건강한 삶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하여 역내 교양교육 종사자들의 공동연구와 각국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공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영문 초록
Education is an activity of helping people to live independently. The essential aspect of educa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man of today teaches the man of tomorrow. Although tomorrow will be made by the choices what we make today, the responsibility for tomorrow is not on our shoulders but on the shoulders of next generation. The fundamental dilemma of education reveals itself in the reality of that we who cannot take over the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have to educate the next generation who cannot avoid that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times, especially in the period of rapid changes occurring nowadays. We have to educate the next generation to be able to get over the crisis and threats of the future bravely facing to the changes and overcoming the challenges. The crisis are very: the crisis of peace and democracy and the one of rapid climate change;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 threats comes from the unstable job markets. Education has to provide endless abilities with which the next generation will surmount the crisis and adjust themselves with the changes. The abilities are of critical thinking, humility, moral judgment, caring, inclusion, communication, and of self-learning that the next generation has to cultivate throughout their life. Only then will future sustainability be secured. The cultivation of these qualities is also the goal of both human form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also aims the cultivation of these qualities. The times, therefore, demand that universities provide more elaborated general education. Global crises and changes affect dramatically East Asia. East Asia has unfortunate histories, sometimes summoned by politics. The ill-fated histories amplify these crises and cause regional tensions. In order to build a healthy foundation for life in East Asia, it is a urgent necessity to carry out collaborative research among general educators and the development of joi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the region.
목차
1. Introduction
2. Humanity in Crisis
3. Contributions of General Education
4. Recommendations for the Academic Societies in East Asian Countrie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목차
- 음악감상과 철학적 사유를 융합한 체험중심의 교양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AGE: Beyond National ideological Interests, Fulfilling the Responsibilities of Civil Association and Cooperating with Asian Partners for General Education
- The KAGEDU : Its History, Struc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ctivities
-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 With the Activities of the Japan Association for College and University Education
-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ChatGPT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by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니체의 교양교육론의 비판적 탐색
- ≪장자≫ 우언을 활용한 고전 교양 수업 설계
-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형상화와 온라인 상담세션을 활용한 비대면수업에서의 영어학습자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 소집단 토론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공감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기초 화학 과목의 개발 및 적용
- 교양 교육 콘텐츠로서 장소 특정적 연극의 가능성
-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일반화학 수업에서의 복합적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의 구성 및 적용사례 연구
-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요인의 교양교육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생성형 AI 사용 경험과 수업 활용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초보적 학술 담론 텍스트의 역량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 대학 진로학점제의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 마이크로러닝 활용 대학 교양 수업 개발 및 수업 만족도 분석
-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인성교육 개발 및 운영 사례
- 교양교육에서 자비명상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성적경고자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본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 대학 교양교과의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