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이크로러닝 활용 대학 교양 수업 개발 및 수업 만족도 분석
이용수 52
- 영문명
- Development of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lasses using Microlearning and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진(Hyun Jin Park) 정승은(Seung E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6호, 297~3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교양 수업의 개발과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마이크로러닝 수업의 필요성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있다. 마이크로러닝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tClass는 1학점 수업이며 5주 동안 비선형 방식으로 수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알기 위해 전체 원격 수업 및 tClass 수강자대상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4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했다. 수업만족도 분석 결과, 원격 수업의 특성상 적시성과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높았으며 특히 학습자료와 접근성 항목에서 tClass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집중력 저하와 지루함, 학습의지 부족이원격 수업을 방해하는 요소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러닝의 특징이 잘 실현될 수 있는 수업 운영이 가능하도록 학사 제도가 변동될 수 있는지 충분한 사전 조율이 필요하다. 2) 마이크로러닝으로 개발되기에 적합한 강의 주제 선정과 난이도 설정이 중요하다. 3) 학생의 주도적 학습과 점검을 도울 수 있는 학습 활동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4) 학생의 집중력과 이해력 향상을 위해 영상 제작 방식이 다양화되고 완성도가 높아질 필요가 있다. 연구의결과가 대학 내에서 마이크로러닝으로 수업을 개발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beral arts classes using microlearning content and to analyze class satisfaction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microlearning classe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Developed by reflecting microlearning characteristics, tClass is a one-credit class designed to be available in a nonlinear manner for five weeks. After this course, a satisfaction survey of all remote classes and tClass student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learner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with four applic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timeliness and accessibility were high due to the nature of remote classes, and tClas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mong the students, especially when it came to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items. On the other hand, poor concentration, boredom, and a lack of willingness to learn were found to be obstacles for remote class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microlearning, sufficient prior coordination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we should change the academic system. 2) In order to develop microlearning, it is important to set an appropriate lecture topic and a suitable level of class difficulty. 3) There is a need to design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help students take a leading role regarding their own learning and inspection. 4)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concentration and understanding, video production methods need to be diversified and their level of completion needs to be increase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microlearning classes in universities and to enhance learning effects.
목차
1. 서론
2. 마이크로러닝과 대학 교육
3. 마이크로러닝 기반 tClass 교과목 운영 및 평가 설계
4. 수업 만족도 분석 결과
5. 제언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목차
- 음악감상과 철학적 사유를 융합한 체험중심의 교양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AGE: Beyond National ideological Interests, Fulfilling the Responsibilities of Civil Association and Cooperating with Asian Partners for General Education
- The KAGEDU : Its History, Struc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ctivities
-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 With the Activities of the Japan Association for College and University Education
- Sustainable fu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ChatGPT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by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니체의 교양교육론의 비판적 탐색
- ≪장자≫ 우언을 활용한 고전 교양 수업 설계
- Before and After COVID-19: A Comparative Analysis of EFL Learning Respons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형상화와 온라인 상담세션을 활용한 비대면수업에서의 영어학습자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
- 소집단 토론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공감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기초 화학 과목의 개발 및 적용
- 교양 교육 콘텐츠로서 장소 특정적 연극의 가능성
-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일반화학 수업에서의 복합적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의 구성 및 적용사례 연구
-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요인의 교양교육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생성형 AI 사용 경험과 수업 활용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초보적 학술 담론 텍스트의 역량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 대학 진로학점제의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 마이크로러닝 활용 대학 교양 수업 개발 및 수업 만족도 분석
-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인성교육 개발 및 운영 사례
- 교양교육에서 자비명상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성적경고자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본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 대학 교양교과의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