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이용수 50

영문명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in the Age of AI : Applications to Liberal Arts Education and Possible Extension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정옥희(Ok-Hee Jeo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6호, 235~25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류 문명의 진화와 함께 개발된 문해력은 ‘리터러시(literacy)’라는 원어로 통용되며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고 비판하며 문제를 예측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그 의미가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알고리즘을 통해 시각인식, 음성인식, 의사결정 등은 물론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를 읽어내며 분석하고 이미지와 언어를 생성하는 시대에 인공지능의 기술적 활용을 넘어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터러시가 요구된다. 오늘날 시각적 문해력으로 알려진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의 의미는 디지털 기술의 습득과 활용에 필요한 시각적 인지력에 대한 새로운 방식은 물론 상상력과 비판적 사고가 결합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간 삶의 방식이 시각적으로 큰 변혁을 가져오게 된 시대 ‘비주얼리터러시’의 의미를 재고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의 적용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내용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트의 정보처리 기술 향상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활용을 위한권한 부여로서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다.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이 가진 잠재력과 기술적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기 위한 능력을 넘어 유토피아적이고 디스토피아적인 안목에 대한 자율적 판단과 그에 따른 책임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 의 교양교육적 적용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Literac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when it comes to attaining a critical eye for the real world, as well as for analyzing problems in the past and making predictions for the future. Since literacy is evolving in a new paradigm for human lifestyles and abilities, in no small part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technology,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teracy. Next, we consider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in an era when AI reads and analyzes information such as images and texts, as well as visual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decision-making through algorithms, and creates art in a new wa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for the need to change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s a driving force for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imagin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util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social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content of this study emphasizes both a utopian and dystopian aesthetic vision,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otential and expandability of AI, rethinking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 at the ethical level with human autonomous judg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need for us to apply ‘visual literacy’ in a way that combines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our need to develop a new way of visual cognition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and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erms of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at the application of ‘visual literacy’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qualities can help us expand new possibilities for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AI by giving us the author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digital media based on imagination for image and tex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visual communication.

목차

1. 서론
2. 리터러시의 교육적 적용 변화
3.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특성
4. ‘비주얼 리터러시’의 교양교육 적용
5.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옥희(Ok-Hee Jeong). (2023).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교양교육연구, 17 (6), 235-251

MLA

정옥희(Ok-Hee Jeong). "인공지능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의미 재고." 교양교육연구, 17.6(2023): 235-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