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이용수 7
- 영문명
- Two Cases of Sudden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in Children after Steroid Treat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eong Kim) 김경우(Kyoung Woo Kim) 정재훈(Jae Hoon Jeong) 문남주(Nam Ju Moon) 전연숙(Yeoun Sook Chu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268~127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8세 남아가 덱사메타손 점안 3일 뒤 발생한 구토, 두통으로 내원하였다. 안압은 우안 55 mmHg, 좌안 62 mmHg였으며 전방의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기존 안약 중단 후 안압하강제 하루 2회 점안과 2회 만니톨 정맥 주사 후 다음 날 안압은양안 18 mmHg였다. (증례 2) 10세 남아가 3일 전 코로나바이러스-19 감염증으로 진단받고, 메틸프레드니솔론 4 mg 하루 2회를 처방받아 하루 복용한 뒤 시작된 두통, 안구통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압은 우안 41 mmHg, 좌안 54 mmHg로 측정되었으며전방의 이상 소견은 없었다. 약제 중단 후 안압하강제 점안을 시작하였으며 만니톨 정맥 주사 후 다음 날 안압은 우안 7 mmHg, 좌안16 mmHg로 낮아졌다. 좌안의 시신경섬유층 두께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소아에서는 스테로이드 약제 사용 하루 만에도 급격한 안압상승이 발생할 수 있고, 빠른 치료를 시행하여도 구조적인 손상이남을 수 있다. 따라서 비전형적인 안압상승을 염두에 두고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sudden intraocular pressure (IOP) elevation in children after steroid treatment.
Case summary: (Case 1) An 8-year-old boy visited the hospital with vomiting and headache that had begun 3 days after application of dexamethasone eyedrops. IOPs were 55 and 62 mmHg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both anterior chambers were normal. The eyedrops were stopped and timolol/dorzolamide was applied twice daily. After intravenous mannitol injection, the IOPs of both eyes decreased to 18 mmHg within 24 hours. (Case 2) A 10-year-old boy diagnosed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three days prior had been prescribed methylprednisolone 4 mg twice daily; he visited the hospital with headache, eye pain, and decreased vision that began 1 day after medication. IOPs were 41 and 54 mmHg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both anterior chambers were normal. After drug discontinuation, timolol/dorzolamide, brimonidine, and latanoprost eyedrops were applied. Subsequently, after intravenous mannitol injection, the IOPs decreased within 24 hours to 7 and 16 mmHg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they remained stable. However, thinning was observed in the retinal nerve fiber and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Conclusions: Children can develop rapid IOP elevation after even 1 day of steroid use; residual structural damage may be present, despite prompt treatment. Clinicians must closely monitor such patients for atypical IOP elevation.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