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Long-term Longitudinal Analysis of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Following Sulodexide Treatment in Diabetic Retinopathy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차창민(Chang Min Cha) 임재완(Jae Wan Lim) 김창주(Chang Zoo Kim) 이승욱(Seung Uk Lee) 이상준(Sang Jo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208~121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sulodexide)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2년 장기 변화를 종단면적으로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2년 이상 경과 관찰한 38안을 대상으로 설로덱시드 복용 전, 복용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중심망막두께, 황반하 맥락막두께, 맥락막혈관지수(choroidal vascularity index)를 각각 비교하고 전향적 코호트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군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전 황반하 맥락막두께는 216.00 ± 64.23 μm였다. 황반하 맥락막두께는 복용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에 각각 223.87 ± 62.18 μm, 225.53 ± 62.02 μm, 225.76 ± 63.62 μm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377, p=0.0159, p=0.0135). 설로덱시드 복용 전 중심망막두께는 318.14 ± 102.28 μm였다. 중심망막두께는 복용 후 6개월 313.08 ± 77.47 μm, 12개월 314.97 ± 88.32 μm, 24개월 320.03 ± 97.36 μm로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p=0.904, p=0.736, p=0.892).
결론: 설로덱시드 복용 후 2년간 경과 관찰 결과 황반하 맥락막두께는 복용 이후 2년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맥락막두께의증가는 중심황반두께와는 관련이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two-year longitudinal changes in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CT) following sulodexide treatment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Thirty-eight eyes from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followed for a minimum of two years after sulodexide administration, were included. Subfoveal CT, measured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as analyzed prospectively. Variables including age, sex,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HbA1c, blood pressure, sulodexide treatment duration, refractive error, axial length,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visual acuity, laser photocoagulation, and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jections were evaluated for potential effects on CT. CMT, subfoveal CT, and choroidal vascularity index were compared at baseline and at 6, 12, and 24 months after sulodexide.
Results: Of the 38 eyes, 10 belonged to males and 28 to females. The mean data were as follows: age, 67.18 ± 8.87 years; duration of diabetes, 18.11 ± 7.57 years; HbA1c, 8.76 ± 1.60 mmol/L; systolic blood pressure, 134.69 ± 14.68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73.72 ± 11.90 mmHg; duration of sulodexide, 25.79 ± 3.17 months; refractive error, 0.22 ± 2.19 diopters (D); and axial length, 23.32 ± 0.89 mm.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15 eyes underwent laser photocoagulation and 17 eyes received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jections. The mean subfoveal CT was 216.00 ± 64.23 μm before sulodexide administration and increased to 223.87 ± 62.18 μm, 225.53 ± 62.02 μm, and 225.76 ± 63.62 μm at 6, 12, and 24 months, respectively (p = 0.0377, p = 0.0159, p = 0.0135). The CMT was 318.14 ± 102.28 μm initially and changed to 313.08 ± 77.47 μm, 314.97 ± 88.32 μm, and 320.03 ± 97.36 μm at the aforementioned intervals, with no significant variation (p = 0.904, p = 0.736, p = 0.892).
Conclusions: Sulodexide administration led to a significant rise in subfoveal CT over a 2-year follow-up. This change in CT was not mirrored in the CM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