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Analysis of Orbital and Adnexal Lymphoma in the Western Area of Gyeongsangnam-do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인석(In-Seok Jeong) 김성재(Seong-Jae Kim) 서성욱(Seong-Wook Seo)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136~114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현재까지 국내 및 국외에서 보고된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과 비교하여 서부 경남지역 환자에서나타나는 특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조직검사 후 림프세포증식 질환(lymphoproliferative disorders)으로 진단받은 환자 25명중 21명의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orbital and adnexal lymphoma)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21명이었고 연간 평균 발생률은 10만 명당 0.18로 국내 전국 평균에 비해 다소높은 양상을 보였다. 중위연령은 57세였고 남여 비율은 1.1대1로 차이는 없었다. 호소하는 주된 증상은 안구돌출, 결막덩이, 결막충혈, 눈꺼풀부종, 눈물흘림 순이었다. 원발성 병변 85.7%, 전이성 병변 14.3%로 나타났다. 조직학적 분류상 B세포 기원이 95.2%였고 점막연관림프조직 림프종(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이 90.4%로 가장 많았으며 광범위큰B세포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은 4.8%였다. T세포 기원은 자연살해T세포림프종(NK/T-cell lymphoma)이 4.8%를 차지하였다.
결론: 서부 경남지역의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의 연간 평균 발생률은 국내 전국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임상증상 및 원발, 전이성 병변, 조직학적 분류, 치료 후 효과에 관해서는 국내 및 국외의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특이점을 보이지는 않았다.
영문 초록
Purpose: We compared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orbital and adnexal lymphoma in western Gyeongsangnam-do with those reported previousl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Methods: Of the 25 patients diagnosed with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21 patients with orbital and adnexal lymphoma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21.
Results: In total, 21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rbital and adnexal lymphoma, with an average annual incidence rate of 0.18 per 100,000 people, exceeding the national average in Korea.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7 years and the ratio of 1.1 to 1.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included proptosis, conjunctival mass, conjunctival injection, eyelid swelling and epiphora.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accounted for 85.7% and 14.3% of cases, respectively. Histologically, the most common subtype was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90.4%). Furthermor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nd NK/T-cell lymphoma of T-cell origin each accounted for 4.8% of cases.
Conclusions: The reported incidence rate in the present study exceeded the national average in Kore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inical symptoms,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r post-treatment effects compared to finding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