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이용수 2
- 영문명
- Association Between Tear Osmolarity and Dry Eye Sign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한솔(Han Sol Choi) 이시형(Si Hyu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183~119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 환자에게서 I-PEN® (I-MED Pharma, Inc., Dollard-des-Ormeaux, QC, Canada)을 이용하여 측정한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들, 안구표면질환지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 환자 44명(44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I-PEN® (I-MED Pharma, Inc.)을 이용하여 눈물삼투압을 측정하고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점수, 마이봄샘기능부전 정도를 검사하고 안구표면질환지수를 작성하였다. 눈물 삼투압과 마이봄샘기능부전 정도,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각막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 환자들에게서 눈물 삼투압은 Spearman 상관분석상 마이봄샘기능부전 정도(p<0.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상 안구표면질환지수(p=0.00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각막염색점수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이봄샘기능부전 정도(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grade)에 따라 MGD grade 2 이하인 그룹과 3 이상인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두 그룹 사이에서 눈물 삼투압(p<0.001)과 안구표면질환지수(p=0.014)는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결론: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 환자에서 I-PEN® (I-MED Pharma, Inc.)을 활용하여 측정한 눈물 삼투압은 마이봄샘기능부전 정도, 안구표면질환지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tear osmolarity, as measured using I-PEN® (I-MED Pharma, Inc., Dollard-des-Ormeaux, QC, Canada), and various dry eye indicators, including the Schirmer test, tear break-up time (TBUT), Oxford scale,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44 cases of obstructive MGD were reviewed. Tear osmolarity was obtained using I-PEN® (I-MED Pharma, Inc.). The TBUT, Schirmer test, Oxford scale, OSDI, and MGD grade were used to assess the cas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ear osmolarity were analyzed.
Results: Spearman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r osmolarity and MGD grade (p < 0.001) and OSDI (p = 0.005). However, the results of the TBUT, Schirmer test, and Oxford scal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r osmolarity. Th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MGD severity into those with MGD grades ≤ 2 and those with MGD grades ≥ 3. Tear osmolarity (p < 0.001) and OSDI (p = 0.01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MGD, tear osmolarity, assessed using I-PEN® (I-MED Pharma, Inc.),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GD grade and OSDI.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