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Anterior Segment Measurements Between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Schiempflug Coherence Interferomet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송지윤(Jiyun Song) 나경선(Kyung Sun Na)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158~116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Anterion®, Heidelberg Engineering Inc., Heidelberg, Germany)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Pentacam HR®, OCULUS, Wetzlar, Germany)의 전안부 계측치를 비교하고 측정값 간 일치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43명, 65안에 대하여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로 측정한 각막 전면 및 후면 곡률값, 카티지언 난시 및 경사난시, 전방깊이, 중심각막두께를 비교하고 측정값 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Anterion®과 Pentacam HR®으로 측정한 전안부 계측치의 기기 간 평균 차이는 각막 전면의 편평 각막곡률, 가파른 각막곡률및 평균 각막곡률은 -0.13 ± 0.34, -0.02 ± 0.33, -0.05 ± 0.31, 각막 전면 J0 및 J45는 -0.03 ± 0.39, -0.06 ± 0.35, 각막후면의 편평 각막곡률, 가파른 각막곡률 및 평균 각막곡률은 0.12 ± 0.09, 0.07 ± 0.08, 0.10 ± 0.06, 각막 후면 J0 및 J45는 -0.02 ± 0.14, 0.01 ± 0.16, 전방깊이 및 중심각막두께는 0.04 ± 0.06, -3.51 ± 7.42로 확인되었다. 각막 후면 난시 제외한 계측치에서급내상관계수는 0.75 이상이었다.
결론: Anterion®과 Pentacam HR®으로 측정한 전안부 계측치 간 평균 차이 및 95% 일치도 한계는 선행 연구와 비슷한 정도로 확인되며 비교적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표들이 있으며 일치도 범위를 고려하였을 때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시 오차 가능성이 있어 측정값을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ssess the agreement between anterior segment measurements obtained using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terion®, Heidelberg Engineering Inc., Heidelberg, Germany) and Scheimpflu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Pentacam HR®, OCULUS, Wetzlar, Germany).
Methods: We analyzed the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keratometry, Cartesian astigmatism (J0), oblique astigmatism (J45),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two devices in 65 eyes of 43 subjects.
Result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anterior flat K, anterior steep K, anterior mean K, anterior J0, anterior J45, posterior flat K, posterior steep K, posterior mean K, posterior J0, posterior J45, ACD, and CCT measurements were -0.13 ± 0.34, -0.02 ± 0.33, -0.05 ± 0.31, -0.03 ± 0.39, -0.06 ± 0.35, 0.12 ± 0.09, 0.07 ± 0.08, 0.10 ± 0.06, -0.02 ± 0.14, 0.01 ± 0.16, 0.04 ± 0.06, and -3.51 ± 7.42, respectively. All measurements except posterior J0 and J45 had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greater than 0.75.
Conclusions: The mean differences and 95% limits of agreement in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previously reported values. There was a high level of agreement between Anterion® and Pentacam HR®. However, consider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limits of agreement for certain measurements,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assuming interchangeability between these devic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