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이용수 14
- 영문명
- A Case of Vogt-Koyanagi-Harada-like Syndrome Associated with Immunotherapy (Pembrolizumab)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세준(Sejun Park) 박종범(Jong Beom Park) 김기영(K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259~126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면역요법(펨브로리주맙)을 사용한 후 발생한 보크트-고야나가-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를 보고하고자한다.
증례요약: 64세 여자가 양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비소세포폐암으로 호흡기내과에서 면역항암제(펨브로리주맙) 를 사용하고 있었다. 안저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양안에 다발성 망막내액 및 망막하액이 나타났다. 양안 모두 보크트-고야나기- 하라다병 진단 하에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및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술 후 2주간 경구용 프레드니솔론 40 mg/day로 사용하였다. 2주후 외래 내원 시 증상이 호전되었고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다발성 망막내액 및 망막하액의 감소를 보였다. 이후 경구용프레드니솔론을 20 mg/day 2주로 줄였다. 2주 후 외래 내원 시 증상이 호전되었고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다발성 망막내액과 망막하액이 소실되었으며 우안 황반 부근에 소량의 망막하액만 남아 있었다.
결론: 펨브로리주맙 사용 후 발생할 수 있는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은 빠르게 진단하여 경구용 프레드니솔론으로 치료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Vogt-Koyanagi-Harada-like syndrome that occurred during immunotherapy (pembrolizumab) in a patient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Case summary: A 64-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decreas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The patient had NSCLC and had been prescribed immunotherapy (pembrolizumab) by the Department of Pulmonology.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multiple intraretinal cysts and subretinal fluid in both eyes. After evaluation using fluorescein an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Vogt-Koyanagi-Harada (VKH) disease was diagnosed in both eyes and oral prednisolone 40 mg/day was prescribed for 2 weeks. At an outpatient visit at that time, the symptoms had improved, and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decreases in the number of intraretinal cysts and the subretinal fluid level. Oral prednisolone was reduced to 20 mg/day for 2 weeks. At an outpatient visit at that time, the symptoms had further improved; no cysts or subretinal fluid were apparent on fundus examination 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only a small amount of subretinal fluid was present near the macula of the right eye.
Conclusions: VKH disease may develop during immunotherapy (pembrolizumab) but can be rapidly diagnosed and treated with oral steroids.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