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Caregiv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Holistic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지원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1호, 25~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전인적 웰빙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PubMed, CINAHL, MEDLINE, Embase를 사용하여 2014년 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ASD”,“intellectual disability”, “cerebral palsy”,“parents”,“caregiver”, “informal caregiver”,“formal caregiver”,“intervention”을 사용하였고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3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이후, Web of science에서 3개의 논문을 추가하여 6편의 연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수준 분석 모델, 근거 중심 물리치료 데이터베이스, PICO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6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방법론적 질 평가의 총점 평균은 6.6점으로 ‘양호’로 나타났다.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유형은 대체로 가족의 범주에 해당하였다. 중재의 유형은 다양하였지만, 정신 건강 개선을 위한 중재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에게 중재를 제공한 결과, 정신적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일부 연구에서는 운동 행동, 자기 관리 행동, 영양 행동 등의 신체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개선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웰빙을 포함한 전인적 웰빙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타당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improving the holistic well-being of caregiv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PubMed, CINAHL, MEDLINE, and Embase were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October 2024. Key terms included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 “ASD,” “intellectual disability,” “cerebral palsy,” “parents,” “caregiver,” “informal caregiver,” “formal caregiver,” and “intervention.” Three studies were initially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ith three additional studies identified through Web of Science, resulting in a total of six studies. The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y-assessment model, evidence-based physical therapy databases, and the “Patient-Intervention-Comparison- Outcome” criteria.
Results: The six included studies had an average methodological quality score of 6.6, rated as “satisfactory.” Most caregivers were family members and the interventions focused primarily on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psychological domain, with some studies reporting improvements in physical domains such as exercise, self-care, and nutritional behaviors.
Conclu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caregiv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ffectively improved their holistic well-being, includ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aregiver-focused interven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중재: 근거 기반 연구의 체계적 고찰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실태조사
- 노인을 위한 가정환경수정 관련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