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중재: 근거 기반 연구의 체계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Interventions for Social Isolation in Infants and Preschool-age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민정 노금미 서은혜 신진아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1호, 4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외 사회적 고립 중재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사회적 고립 중재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RISS, Embase, CINAHL, PubMed, Web of Science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검색용어로는 ‘child’ OR ‘children’ OR ‘preschool’ AND ‘quarantine’ OR ‘social isolation’ OR ‘loneliness’를 사용하였다.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 중 기준에 부합하는 최종 7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 수준, 고립의 유형, 중재 방법, 평가 도구, 중재 효과 순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 중재는 시설 기반 중재 5편과 가정 기반 중재 2편으로 구성되었다. 중재 효과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회적 의사소통, 인지, 정신 건강, 신체 건강, 적응행동(긍정적 행동, 부정적 행동 포함), 일상생활 동작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 중재에 대한 접근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중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는 임상에서 적절한 중재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s for social isolation among infants and preschool-aged children to establish clinically applicable evidence.
Methods: Intervention studies on social isolation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April 2024 were targeted.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RISS, Embase, CINAHL, PubMed, and Web of Science, with keywords such as “child,” “children,” “preschool,” “quarantine,”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Seven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interventions targeting preschool-aged children were selected.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regarding their quality level, types of isolation, intervention methods, evaluation tools, and intervention effects.
Results: Interventions for social isolation in preschool-aged children consisted of five facility-based and two home-based interventions.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effec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al communication, cognition,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daptive behavior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approaches to interventions for social isolation in preschool-aged children and provided evidence for the role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addressing social isolation. Thes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clinical intervention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중재: 근거 기반 연구의 체계적 고찰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실태조사
- 노인을 위한 가정환경수정 관련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