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실태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A Survey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Acquiring 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 Qualifications in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춘엽 장문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1호, 57~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 작업치료(학)과가 있는 55개 대학을 전수 조사하였고, 각 대학에 소속된 교수 한 명이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문항은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작업치료사 대상의 보조공학 워크숍 결과 내용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학제에 따른 결과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조공학사 국가시험 동일과목 인정심사 신청 현황에서 신청 후 인정을 받은 대학이 52.7%이었고, 향후 추가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과목은 주택환경개조 관리 및 조정이었다.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노력은 학생들의 진로 탐색 및 취업 영역 확대를 위해 60.0%가 매우 노력하거나 노력한다고 하였다. 융합교육과정에 대해서는 90.9% 이상이 좋은 방안이라고 하였고, 필요한 역량은 보조공학사 실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서비스 연계, 공학 지식 등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한 양질의 취업처 발굴과 확보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작업치료(학)과의 보조공학 관련 실태와 교수들의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조공학 분야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acquiring 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 qualifications among professors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t 55 universities offering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with one professor from each institu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insights from an assistive technology worksho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institutional types.
Results: Among universities that applied for subject recognition in the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Examination, 52.7% received approval. Home modification, management, and coordination were identified as a subject requiring further development. Additionally, 60.0% of professors actively supported the acquisition of this qualification to help students explore different career paths. More than 90.9% agreed on the importance of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emphasizing the value of competencies such as a general understanding of assistive technology practice, service connection, and engineering expertise. The key strategy for promoting the qualification was as a means to secure diverse, high-quality employment opportunitie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e of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fessors' perspectives in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expert opinions to enhance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assistive technology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중재: 근거 기반 연구의 체계적 고찰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실태조사
- 노인을 위한 가정환경수정 관련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