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이용수 2
- 영문명
- Ocular Movement Disorder after Scleral Buckling Surgery in Patients with Retinal Detach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경주(Kyeong Joo Lee) 선해정(Hae Jung Sun) 최경식(Kyung Seek Choi) 이성진(Sung Jin Lee) 김현아(Hyuna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238~124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양안 복시는 열공성 망막박리에서 시행하는 공막돌륭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막돌륭술 이후양안 복시의 발생률과 그 위험인자를 밝히고, 복시가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사시수술의 수술 성공률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열공성 망막박리로 공막돌륭술을 시행한 417명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6개월 이상 지속된 양안 복시를 복시 발생군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22명(5.3%)에서 수술 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양안 복시가 발생하였다. 공막누름조각에 영향을 받은 근육의 개수, 냉동유착술, 망막하액배액술, 가스 또는 오일 주입술의 시행 여부와 복시 유병률 간 의미 있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복시 발생군 중 3명(13.6%) 은 프리즘 치료 후 양안 단일시를 획득하였으며, 10명(45.5%)은 사시수술을 시행하였고, 1명(4.5%)은 공막누름조각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사시수술을 시행한 모든 환자에서 공막누름조각과 외안근 사이의 유착이 발견되었으며 수술 후 6명(60%)은 복시가 해소되었다.
결론: 공막돌륭술 후 안구운동장애와 복시가 생기는 위험 요인은 명확히 규정할 수 없으며, 프리즘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에도 복시가지속될 경우 사시수술의 시행이 복시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Binocular diplopia is a primary complication that may arise after scleral buckling surgery in patients with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binocular diplopia after scleral buckling surgery; it also evaluated the rate of strabismus surgery success in patients with diplopia.
Methods: Medical records of 417 patients who underwent scleral buckling surger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at a single institution from January 2017 to June 2022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ho experienced binocular diplopia for > 6 months were included in the diplopia group.
Results: After surgery, 22 patients (5.3%) developed binocular diplopia.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diplopia onset with buckle position (i.e., the affected muscle), cryophotocoagulation, subretinal fluid drainage, and the use of gas or oil injections. Prism therapy restored binocular single vision in three patients. Ten patients chose to undergo strabismus surgery, and one patient underwent encircling band removal. All strabismus surgery patients displayed adhesion between the buckle and extraocular muscle. After surgery, 60% of these patients regained binocular single vision.
Conclusions: Clear risk factors leading to ocular movement disorders and diplopia after scleral buckling remain undefined. If diplopia persists despite prism-based conservative treatment, strabismus surgery may offer relief.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설로덱시드 복용 후 황반하 맥락막두께의 종적인 장기 변화
- 면역항암치료제(Pembrolizumab) 관련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
- 서부 경남지역 안와 및 안부속기 림프종 환자의 역학 및 임상 양상 분석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샤임플러그 부분결합간섭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소아에서 스테로이드 안약 및 경구약 사용 후 발생한 급격한 안압상승 2예
- 전형적인 교감안염 환자의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 증례 보고
- 폐쇄성 마이봄샘기능부전에서 눈물 삼투압과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연관성
-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소실의 위험 요인 분석
-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 삼투압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예측 가능한 염증인자 분석
- 녹내장 정도에 따라 망막전막이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층, 황반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외상성 안와 골막하혈종 후 상안정맥압박과 함께 나타난 이차적 망막 변화 1예
-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돌륭술 시행 후 발생한 안구운동장애
- 동일한 술자에게 형제가 수술받은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안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한 저시력 진료 현황 및 실태 파악 조사
- 회절성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연속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콘택트렌즈 관련 세균각막염에서 배양 양성 여부에 따른 비교 분석
- 국내 환자에서 샤임플러그 사진기와 플라시도원반 각막형태도로 측정한 각막 고위수차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