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지안 통계를 활용한 특수교육 중재전략의 효과성 평가 방안 탐색
이용수 20
- 영문명
-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s Using Bayesian Statistics: An Application of Beta Distribu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여승수 강옥려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7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수교육연구에서 수행하는 중재전략의 연구에서는 중재전략의 실제적 유의성(practical significance)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동안의 특수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빈도주의 통계를 사용하였기에 연구결과를 통계적 유의성에 초점을 맞춘 제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베이지안 통계를 제안하였다. 베이지안 통계는 확률을 기반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특성이 있기에 통계적 유의성에서 벗어나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적합한 실제적 유의성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통계를 분석하는 과정과 장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중재전략의 효과를 평가하는 예시 자료를 사용하였다. 베이지안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한 예시결과에 따르면, 실제적 유의성을 고려하여 중재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전략의 효과성을 확률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며, 다양한 유형의 연구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끝으로 향후 연구주제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extent which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terms of practical significance. However, because, until now, domain statistical practice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is frequentist statistics,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investigating prac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bayesian statistics wa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investigating practical significance. Bayesian statistics is a method of statistics inference in which pro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Therefore, it allows us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al significance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is paper provided the basic concepts of the bayesian statistics and then use a practical example on how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 using bayesian statistics.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evidence that bayesian statistics could be one of alternative approache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Finally,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빈도주의 통계
Ⅲ. 베이지안 이론
Ⅳ. 두 통계 분석방법으로 특수교육 중재전략 자료를 분석한 예시
Ⅴ. 특수교육 중재전략연구에서 베이지안 통계 활용의 장점 및 시사점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이지안 통계를 활용한 특수교육 중재전략의 효과성 평가 방안 탐색
-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조사
- 시각적 지원을 적용한 학교텃밭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 관계와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선배 멘토링을 활용한 진로교육이 전환기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설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 실태 및 개선 방안
- 발달장애 학생의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지원 요소 탐색
-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성인 초기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플립드러닝 기반 앱 활용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개발
-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업참여 행동, 사회정서역량 및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학연구 제57권 제4호 목차
-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