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14

영문명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옥민욱 박경옥 김지연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7권 제4호, 151~17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의 구축 및 운영과 관련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에 대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특수학교에 근무 중이며 교실 담당자인 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범주, 10개의 주제, 3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은 아직 초보 수준의 활용 단계로 교육적 활용보다는 흥미나 체험 위주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생의 인지 및 신체적 조작 수준과 교사의 활용 역량이 활용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활용의 한계와 제한점은 교사의 활용 역량 부족, 학생의 프로그램 조작 및 활용의 어려움, 학생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부족, 미비한 교육과정 연계 활용 등이었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활용의 효과로는 학생의 흥미 유발과 참여 증진, 학생의 행동문제 감소, 장애나 환경 제약을 보완하는 실제적인 체험 및 자극 제공, 사회변화에 따른 신기술 경험 기회 제공 등이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활용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질 높고 활용하기 쉬운 프로그램 개발, 효율적인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역량 강화, 지속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기기 수리 등 사후 관리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an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 as well as suggest efficient operational plan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a special school with an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 and are in charge of the classroom opera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ur categories, 10 themes, and 36 sub-them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 of the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 is still at the beginner level; it is mainly used for interests or experience, rather than for educational purposes. Also, it was found that students’ level of intelligence and physical manipulation as well as teachers’ ability to use this classroom setting had a great influence on classroom usage. Second, the limitations of using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s includes a lack of teachers’ ability to use them, students’ difficulty using the programs, a lack of programs suitable for various requirements, and insufficient classroom usage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Third, the effects of using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s include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 reduction in students’ challenging behaviors, providing realistic experience opportunities that redeem disabilities or environmental limitatio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ew technologies according to societal change. Last, for successful use of the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 it is required to develop high quality and easy-to-use programs that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crucial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ies for efficient use of immersive contents, continuous program updates and device repai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ffective operational plans for the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classroo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옥민욱,박경옥,김지연. (2023).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7 (4), 151-179

MLA

옥민욱,박경옥,김지연.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7.4(2023): 151-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