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이용수 144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Us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ceived Dietary Benefits After Using School Meal Voucher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이현우 정유경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5호, 319~3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급식바우처로 인해 식비 부담에 도움이 되었고, 학교급식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의 결식 우려가 해소되는 등 사용자가 본인의 식생활에 혜택을 주었다고 생각하면 대체지원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자가 학교급식바우처를 포함한 학교급식 대체지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며, 이는 바우처 품목 영양기준과 같이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부분을 보다 깊게 조사하여 정책과 제도에 반영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COVID-19가 아닌 다른 재난 상황 속에서 한 제도가 실행된다면 정책 입안자의 의견이나 추측에 근거한 정책보다는, 정책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한 정책 결정 방안 마련에 기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meal vouchers according to perceived dietary benefits after using school meal vou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satisfaction with alternative support is also high if the beneficiary thinks that the school meal voucher has benefited his or her diet, such as helping to pay for food. Therefore, satisfaction depends on how the beneficiary perceives alternative support for school meals, including school meal voucher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way to examine in-depth areas that show low satisfaction, such as voucher item nutrition standards, and reflect them in policies and systems.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preparing policy-making measure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thos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cy, rather than policies based on the opinions or assumptions of policymak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O-R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친환경 식품 소비가치가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급식 서비스가 신뢰,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행동 연구
-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치의 탐색적 연구
-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 외식 및 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과 전공 만족 간의 구조관계
- 무례목격(WI)이 고객이 인식한 기업의 윤리성(CPE), 고객시민행동(CCB), 기회주의행동(OB)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교육이 관광전공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 식품 주구매자의 식생활 역량이 김치 구매율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품질민감도를 매개효과로
- 요리 콘텐츠 정보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기반 한식교육 콘텐츠의 중요도, 태도, 이용의도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할랄 푸드 소비자 인식연구
- 로봇카페 체험경제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이용고객의 소비가치가 소비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경영연구 26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