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할랄 푸드 소비자 인식연구
이용수 151
- 영문명
-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s of halal food using big data analytics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장정민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5호, 5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할랄 푸드와 관련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 인식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포털사이트를 통해 할랄 푸드와 관련된 단어를 수집하였고 분석과정에 Textom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2,854건의 단어로 데이터 클리닝을 진행한 후 형태소 분석을 통해 할랄 푸드와 관련된 총 50개의 상위 핵심 단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상위 핵심 단어는 CONOCR분석을 통해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 하였으며 분류된 군집은 ‘할랄 인증 및 도축 관련 인식’, ‘할랄 관련 종교 인식’, ‘할랄 푸드 관련 해외 시장 인식’, ‘할랄 푸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인식’의 소비자 인식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할랄 푸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인식을 분석하고 관련 산업에 필요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perceptions of halal food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the study, words related to halal food were collected through domestic portal sites and Textom was used for the analysis process. After data cleaning with 2,854 collected words, a total of 50 top key words related to halal food were derived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The top key 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through CONOCR analysis, and the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consumer perceptions of 'halal certification and slaughter-related awareness', 'halal-related religious awareness', 'halal food-related overseas market awareness', and 'domestic consumer awareness of halal f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sed domestic consumer perceptions of halal food and drew various implications for related industr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O-R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친환경 식품 소비가치가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급식 서비스가 신뢰,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행동 연구
-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치의 탐색적 연구
-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 외식 및 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과 전공 만족 간의 구조관계
- 무례목격(WI)이 고객이 인식한 기업의 윤리성(CPE), 고객시민행동(CCB), 기회주의행동(OB)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교육이 관광전공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 식품 주구매자의 식생활 역량이 김치 구매율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품질민감도를 매개효과로
- 요리 콘텐츠 정보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기반 한식교육 콘텐츠의 중요도, 태도, 이용의도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할랄 푸드 소비자 인식연구
- 로봇카페 체험경제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이용고객의 소비가치가 소비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경영연구 26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