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이용수 208
- 영문명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 for Overseas Culinary Schools According to Preferences in Korean Food Culture Using Delphi Technique: Focused on IS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김태연 정수민 정희선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5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국에 있는 해외 조리학교의 한식교육 수혜자를 대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델파이기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한국 식문화의 문화성, 독창성, 미각성, 전통성, 건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한식 교육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는 한국 음식 체험, 맛과 건강에 대한 관심, 조리 기술 학습이었다. 교육 방법은 실용적인 레시피와 적절한 교육과정이 중요하고, 강사의 한국어 및 외국어 능력과 이론과 실습의 적절한 교수법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문화권에 있는 조리학교 학생들의 활발한 후속 비교 연구들을 통해 K-food가 전 세계에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초석의 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s for Korean cuisine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mong students who have received Korean cuisine education at foreign culinary school in Thailand. Using the Delphi method, participants emphasized the cultural, innovative, flavorful, traditional, and healthy aspects of Korean food. Their main reasons for engaging in Korean cuisine education were experience, taste, health, and culinary skill acquisition. Practical recipes, appropriate curriculum design, language proficiency, and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educational methods.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isine education programs being conducted abroad and be anticipa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K-food's global establishment through diverse cross-cultural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O-R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친환경 식품 소비가치가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급식 서비스가 신뢰,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행동 연구
-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치의 탐색적 연구
-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 외식 및 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과 전공 만족 간의 구조관계
- 무례목격(WI)이 고객이 인식한 기업의 윤리성(CPE), 고객시민행동(CCB), 기회주의행동(OB)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교육이 관광전공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 식품 주구매자의 식생활 역량이 김치 구매율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품질민감도를 매개효과로
- 요리 콘텐츠 정보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기반 한식교육 콘텐츠의 중요도, 태도, 이용의도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할랄 푸드 소비자 인식연구
- 로봇카페 체험경제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이용고객의 소비가치가 소비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경영연구 26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