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 기반 한식교육 콘텐츠의 중요도, 태도, 이용의도 연구
이용수 115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ortance, Attitude, and Intention of Use of Korean Food Education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아 김혜영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5호, 73~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식 경험이 있는 20~50대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VR기반 한식 교육콘텐츠 개발의 중요도 및 콘텐츠에 관한 소비자의 태도와 이용 의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이를 통해 내국인과 외국인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교육콘텐츠 개발에서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부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VR 기반 한식 교육 콘텐츠 중요도 문항 5개에서 내국인이 외국인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항목별 평균값은 모두 4점 내외로 높았고, 내국인은 ‘섬세한 시뮬레이션’, 외국인은 ‘사용의 편리성’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태도는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 한식 교육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개발의 방향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consumer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VR-based Korean food education contents of Koreans in their 20s and 50s with Korean food experience. Through this, we identifi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mportance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and identified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questions about VR-based Korean food education contents recognized that Koreans were more important than foreigners. The average value of each item was high at around 4 points, indicating that Koreans had the highest figure in “fine simulation”, foreigners had the highest figure in “convenience”, and attitud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developing Korean food education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O-R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친환경 식품 소비가치가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급식 서비스가 신뢰,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PB 도시락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행동 연구
-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치의 탐색적 연구
- 학교급식바우처 사용 이후 지각된 식생활혜택에 따른 사용자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 외식 및 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과 전공 만족 간의 구조관계
- 무례목격(WI)이 고객이 인식한 기업의 윤리성(CPE), 고객시민행동(CCB), 기회주의행동(OB)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교육이 관광전공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 식품 주구매자의 식생활 역량이 김치 구매율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품질민감도를 매개효과로
- 요리 콘텐츠 정보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기반 한식교육 콘텐츠의 중요도, 태도, 이용의도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할랄 푸드 소비자 인식연구
- 로봇카페 체험경제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이용고객의 소비가치가 소비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경영연구 26권 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