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17th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ㄷyV, ㅈyV’계 변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11

영문명
16th~17th Korean Letter's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Middle Korean Chinese Consonants ‘ㄷyV, ㅈyV' System: Focusing on the Suncheon Kim Clan and Hyeonpoong Gwak Cla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성옥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7輯,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자음의 구개음화와 관련하여 16th 중반의 순천김씨와 17th 초반의 현풍곽씨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ㄷyV, ㅈyV’계에 대한 양상을 살핀 것이다.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17th 한글편지는 중세국어 한자음 ‘ㄷyV’계의 경우, 순천김씨는 ‘ㄷyV’형 81회(92.05%), ‘ㄷyV>ㅈyV’형 5회(5.68%), 현풍곽씨는 ‘ㄷyV’형 64회(56.64%), ‘ㄷyV>ㅈyV’형 47회(47.59%)로서, 한자음의 구개음화가 한글편지에서는 16th에 진행되어, 17th엔 두드러진 확산세임을 살폈다. 둘째, 사전류 및 언해문헌 등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는 설음계 한자음의 구개음화는 1720년대에야 일반적인 확산세를 보이면서 설상음에서 설두음으로의 순차적인 진행 과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본고의 한글편지에서는 설두음인 ‘條(L됴), 調(L됴), 丁(L뎡), 天(L텬), 添(H텸), 定(R뎡.H뎡), 弔(H됴.R됴), 地(H디.R디)’ 등이 ‘죠죠<條條. 순천61>, 졍ᄉᆞ<丁巳. 현풍120>, 쳔하<天下. 현풍160>, 쳠장<添狀. 순천65·68·111>, 일졍<一定. 현풍20·29·124>, 죠상<弔喪. 현풍58>, 지하<地下. 현풍160·161·166>’ 등과 같이 16~17th 초반에 설두음에서의 구개음화형이 출현함을, 그리고 구개음화 시기도 1720년대 이후라고 본 ‘知系 3等字’의 ‘知, 智, 重, 丈, 場, 傳, 趙, 直, 鎭, 陳, 張’ 등이 한글편지에서는 ‘무지<無知. 순천165>, 지략<智略. 순천127>, 젼송<傳送. 순천55>, 즁케<重ᄒᆞ게. 현풍126>, 쟝의 살<場. 현풍25>, 샹직<上直. 현풍12>’ 등과 같이 16∼17th에 이미 구개음화형으로 출현함을 살핀 것이다. 셋째, 중세국어 한자음 ‘ㅈyV, ㅊyV’계에 대한 과도교정형은 현풍곽씨에서 두드러짐을, 중세국어 한자음 ‘ㅈi, ㅊi’계에 대한 과도교정형은 현풍곽씨에선 발견되지 않고 오히려 설음계 한자음 ‘ㄷyV>ㅈyV’에 대한 초기 진행 과정을 보였던 순천김씨에서 ‘紙(H지), 芝(L지), 織(H직)’이 ‘남디<藍紙. 35>, 디<紫芝, 15>, 방딕<紡織. 69·83>’ 등으로 출현함을 살폈다. 한자음 구개음화에 대한 초기 과정을 보이는 순천김씨에선 중세국어 한자음 ‘ㅈi, ㅊi’계에 대한 과도교정형이, 한자음 구개음화의 확산세를 보이는 현풍곽씨는 중세국어 한자음 ‘ㅈyV, ㅊyV’계에 대한 과도교정형이 두드러짐을 살펴 논한 것이다.

영문 초록

In relation to the palat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the middle Korean Chinese character 'ㄷyV, ㅈyV' system in the Korean letters of the Suncheon Kim clan in the mid-16th century and the Hyeonpoong Gwak clan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16th and 17th Korean Letters, the Middle Korean Chinese character 'ㄷyV' system was used, and the Suncheon Kim Clan had 'ㄷyV' type 81 times (92.05%), ‘ㄷyV>ㅈyV’ type 5 times (5.68%), Hyeonpoong Gwak Clan had ‘ㄷyV’ type 64 times (56.64%), ‘ㄷyV>ㅈyV’ type 47 times (47.59%). It was discussed that the palat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progressed in the 16th in Korean letters, and the remarkable spread in the 17th. Second, in previous studies on linguistic literature, it is said that palat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a sequential process from Seolsangeum(舌上音) to Seoldueum(舌頭音), showing a general diffusion trend in the 1720s. However, in the 16th and 17th Korean letters of this paper, Seolduem(舌頭音) ‘條, 調, 丁, 天, 添, 定, 弔, 地’ appear in palatalized form. The period of palatalization was also considered to be in the 1720s, and ‘朝, 知, 智, 重, 丈, 場, 傳, 趙, 直, 鎭, 陳, 張’ in the ‘知系 3等字’ appeared in the 16th to 17th Korean letters as a palatalization type. Third, Suncheon Kim Clan, which shows the initial process of palat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discusses the hypercorrection of the 'ㅈi, ㅊi' system, and the Hyeonpoong Gwak Clan, which shows the trend of spreading palatalization of Chinese consonants, by examining and discussing the prominence of the 'ㄷyV·ㅈyV' system.

목차

1. 서론
2. 16∼17th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ㄷyV’계에 대한 분석 및 해석
3. 16∼17th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ㅈyV’계에 대한 분석 및 해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옥. (2023).16~17th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ㄷyV, ㅈyV’계 변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어문연구, (), 5-33

MLA

김성옥. "16~17th 한글편지에서의 중세국어 한자음 ‘ㄷyV, ㅈyV’계 변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어문연구, (2023):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