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이용수 0

영문명
The existence and interests-protecting activity of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in nineteenth century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종철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6집, 119~16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번에 새로이 발굴된 1866년에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과 동작진(銅雀 津)의 사공들과 맺은 한강 왕래 뱃삯 합의서와 이를 추인한 경기도 과천현의 작청과 과천현감이 발급한 완문 및 1894년에 갱신된 뱃삯 합의서는 다음 사항들을 알려준다. 1. 「갑신완문」으로 재조직된 전국의 광대조직의 하나로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이 19세기 말엽까지 존재하고 활동을 했다. 2. 동작진은 충청도 광대들이 서울에서의 연행을 위해 상경할 때 이용하는 나루터인데, 1866년 이전에 상당한 기간 동안 이 동작진의 사공들이광대들에게 뱃삯을 과도하게 요구하여 광대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다. 3. 동작진 사공들의 과도한 뱃삯 요구에 대응하여 전만길(田萬吉)을 비롯한 충청도 광대 도중 소속의 광대들이 동작진 사공들과 협상을 벌여 계방(契房)으로 20냥을 제공하기로 하여 뱃삯 문제를 해결하고, 이합의 사항을 과천현으로부터 공인을 받았다. 4. 충청도 광대 도중과 동작진 사공들의 1866년의 합의는 이후 계속 유효하였으며, 1894년에 계약이 갱신되었다. 5. 이상의 사실에서 충청도 광대도중은 소속 광대들의 권익을 위해 적극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들에 대한 사회적으로 부당한 대우에 대하여 관청에 호소하는 방법 대신 이해 당사자 사이의 협상과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 문안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작성한 것에서 광대 조직이 하나의 사회 조직으로서 상당한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1866년 3월에 충청도 광대도중을 대표하여 전만길(田萬吉)이 좌‧ 우변 나례청에 예납(例納)으로 30냥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은 다음 사항을 알려준다. 1. 1784년 이후 나례청의 존재와 활동이 기록에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수표는 1866년 현재 좌․ 우변 나례청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2. 좌․ 우변 나례청이 매년 지방의 광대 도중으로부터 예납(例納)으로 30 냥을 받아왔다는 사실은 좌․ 우변 나례청과 지방의 광대 조직 사이의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보이다. 중앙에서의 대규모의 공연이 없어진뒤에도 나례청과 지방 광대 조직 사이의 관계는 지속되었으며, 재정적측면에서 중앙의 나례청은 지방의 광대 조직에 의존하는 측면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3. 수표에 기록된 좌․ 우변 나례청의 대방들 중 일부는 장인(匠人)이자동시에 연희자들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장인이면서 연희자였던 인물들이 존재했던 전례에 비추어 볼 때 좌․ 우변 나례청의 대방들의일부는 장인이자 동시에 연희자들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수표에 찍힌 도서(圖書)가 매미 모양으로 된 것으로 보아 구전(口傳) 을 통해 알려진 바, 나례청에서 봄에 사용하던 선인(蟬印)으로 간주된다. 이 도서에는 좌변대방(左邊大房)이라 새겨져 있다.

영문 초록

As a written agreement between Dongjak-jin Ferrymen and Chungcheong -do Kwangdae Dojung(association of mask performers) in 1866 concerning ferryboat charge for crossing Hangang river is newly found, and as a written confirmation issued by government office and chief magistrate of Gwacheon -hyeon, Gyeonggi-do after the agreement as well as renewed agreement document on ferryboat fare increase in 1894 are found, we can ascertain following particulars. 1.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one of the nationwide association of Kwangdaes(mask performers) reorganized by 「Gapsin Confirmati on(甲申完文)」, was retained and in action until the late 19th century. 2. Dongjak-jin used to be a ferry which had been used by Kwangdaes from Chungcheong-do when they go to Seoul for performance. Ferrymen of Dongjak–jin demanded too much boat fare to Kwangdaes to serious damage for a long time before 1866. 3. Resisting unreasonable boat fare demand, members of Chungcheong -do Kwangdae Dojung, including Jeon Man-gil(田萬吉), started to negotiate with Dongjak-jin ferrymen and reached to an agreement that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will pay 20 nyangs for Gyebang(契 房, cereal for ferryboat fare that people living near ferry paid to ferrymen). They made the agreement confirmed publicly by Gwacheon-hyeon. 4. The 1866 agreement between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and Dongjak-jin ferrymen had remained valid since then, and the contract got renewed in 1894. 5. Considering the facts mentioned above, we can tell that Chungcheon g-do Kwangdae Dojung played an active part in protecting interests of its members. And also, we can tell the association of Kwangdaes growed to be a considerable social organization in that they protected their own interests against unreasonable social treatment by means of negotiation and agreement between involved parties, drawing agreeme nt on a vantage ground instead of appealing to help of authorit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excavated check(the receipt for the annual payment of 30 nyangs to Naryecheong in march 1866, which Jeon Man-gil(田 萬吉) received from the office as a representative for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we can ascertain the following particulars as well. 1. While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Naryecheong does not appear in record since 1784, the check shows that left and right wings of Naryecheong were still retained in 1866. 2. It is a new fac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ryecheong and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that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payed 30 nyangs to Naryecheong annually. Even after large–scale central performance had been abolished, Naryecheong and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still ha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also probable that the financing of Naryecheong partly depended on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3. Some of Naryecheong Daebangs(大房, chief manager) recorded in the check are identified as craftsmen. Considering precedent instances of some persons who served both as craftsman and performer, some Naryecheong Daebangs might be also craftsmen as well as performer. 4. The seal pressed on the check is regarded as a Seonin(蟬印, cicadafi gure seal) which was used at Naryecheong in spring. The Chinese characters inscribed in the seal are read as ‘Jwabyeondaebang’(左邊大 房, chief manager of left wing in Naryecheong).

목차

1. 머리말
2.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
3.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廣大都中)의 한강(漢江) 도강(渡江)과 관련한 권익 활동
4.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과 좌‧ 우변 나례청(左右邊 儺禮廳)의 관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철. (2013).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판소리연구, (), 119-163

MLA

김종철.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판소리연구, (2013): 119-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