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화용 정보의 개념과 유형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 and Type of Pragmatic Information as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Korean Gramma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성인경 전은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2권 2호, 117~1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concept of pragmatic information and categorize the types of pragmatic information. The main contents of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have been centered on forms and meanings that are easy to set categories and types. As a result, learners may experience pragmatic failure because they do not know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use of grammatical items. Therefore, when providing grammatical items to learner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hat provides a balance of morphological,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defines pragmatic information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as ‘knowledge related to the use of grammatical items necessary for Korean learners to properly express in Korean’. Also, pragmatic inform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related to the discourse context of ‘discourse participant, discourse situation, discourse function’ and three types related to the grammar use of ‘similar grammar, abbreviation・dropout・omission, and the use effec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agmatic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목차
1. 서론
2. 문법 교육과 화용 정보
3. 한국어 문법 교육용 화용 정보의 개념
4. 한국어 문법 교육용 화용 정보의 유형4)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화용 정보의 개념과 유형 연구
- 수탁 생도 입교 기준의 효용성 연구
- 사회적 맥락과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교육학 전공 교육 과정 개발 기초 연구
- 한국어 숙달도와 한국 거주 경험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관용어 유형별 이해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능력 발달 연구
-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인도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한국어 학술텍스트의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세종학당 교원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지원 체계 개발 연구
- 기계번역 활용 한국어 작문 교육의 효과
- 부사격 조사 ‘-(으)로’의 의미기능에 따른 중국어의 대응 양상 연구
- 군집분석을 활용한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동기 유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