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속 발화 과제에서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언어 특성에 관한 메타 분석

이용수 171

영문명
Linguistic Features in the Connected Speech for Primary Progressive Aphasia: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지민 성지은 김영태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1, 111~1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원발진행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은 신경변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의 하나로, 초기에 인지 저하가 나타나지 않지만 언어에서는 어려움을 나타낸다. 선행연구에서는 PPA가 언어학적 특성 중 구문 특성에서 다른 신경변성질환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다. 구문 특성을 살펴보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알려진 연속 발화(connected speech) 과제에서 PPA 환자의 발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3개의 국외 데이터베이스(CINAHL EBSCO, PubMed, SCOPUS)에서 추출한 논문을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총 13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각 논문에서 언어학적 변수를 유창성, 구문 특성, 그리고 어휘 특성으로 하여, 각 결과값을 Hedges’ g로 변환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PPA와 정상 간 차이가 유의하여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적 특성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학적 특성 중 유창성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수는 PPA 유형이었다. 셋째, 언어학적 특성 중 구문 특성에서도 효과크기가 유의하였고, 중증도가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휘 특성에도 효과크기가 유의하였으며, PPA 유형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PPA 환자들은 유창성과 어휘 특성에서 유형 간 차이가 유의했지만, 구문 특성에서는 중증도 간 차이가 유의했다. 이는 PPA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PPA 환자들이 구문 특성에서 결함이 두드러진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where language disorder is a predominant symptom.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with PPA shows different syntactic abilities when compared to other degenerative syndromes, suggesting that connected speech is the appropriate task for examining syntactic feature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PPA in connected speech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irteen studies were extracted from the three foreign databases (CINAHL EBSCO, PubMed, SCOPUS). Fluency, syntactic, and lexical features were converted to Hedges’ g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speech production among people with PPA and the control, and between linguistic features. Results: First, the PPA group showed a worse performance overall in the connected speech tasks compared to the control, having a moderate effect on only linguistic features. Second, the PPA group showed wors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fluency features, having PPA types as a moderator. Third, the control had better performance in the syntactic features, showing severity as a moderator. Lastly, performance between the PPA group and the control in lexical features had a moderate effect on PPA type.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peech production of individuals with PPA in connected speech has a moderate effect on linguistic features. Moreover, the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of PPA in connected speech showed that each linguistic features has a different moderator. To be specific, fluency and lexical features were both discriminated by the PPA types, whereas syntactic features were differentiated by the severity, demonstrating that all people with all PPA types had difficulty in syntactic featur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민,성지은,김영태. (2023).연속 발화 과제에서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언어 특성에 관한 메타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1), 111-126

MLA

박지민,성지은,김영태. "연속 발화 과제에서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언어 특성에 관한 메타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1(2023): 11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