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rming & Evolving Process of Sijo sung by wome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허왕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7호, 397~4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성들이 시조의 연행에 집단적으로 참여한 사실에 주목하고, 여창 시조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살핀 것이다. 속악 정재(俗樂呈才)의 하나였던 북전(北殿)이 제례악(祭禮樂)에서 후전(後殿)의 연희에 사용되는 곡으로 제한되고, 수연(壽宴)에서 송도(頌禱)의 의미를 담은 장가(長歌)로 개작되었다가, 16세기를 거치면서 단가(短歌)의 곡조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조창이 형성되었다.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여창은 북전(北殿)과 율당(栗糖)으로 분화되고, 율당(栗糖)이 다시 소용이(騷聳伊)와 율당삭대엽(栗糖數大葉)으로 분화하였으며, 이 가운데 율당삭대엽(栗糖數大葉)이 만횡(蔓橫)과 연계되고, 만횡(蔓橫)은 다시 기존의 롱가(弄歌)에 닿으면서 여성 시조가 점차 확대되어 나갔다. 다른 한편으로 북전도 평조계면조우조계면조우조 따위로 선법이 분화되었으며, 기존에 북전으로 불리던 시조 작품들이 후행 작품들을 파생시켰다. 이러한 과정은 여창이 분화와 발달을 보여준다. 여창은 시조 가창의 곡조를 주도적으로 변화시켰고, 가곡창에서 시조창이 분화되는 과정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19세기에 들어 여창 시조는 연희 현장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모으는 연행 예술이 되었다. 이는 여창이 일반 향유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여성 스스로 자신의 이해와 욕구를 제한된 공간 안에서 반영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ought to the root of Sijo sung by women(Ginyeos: official Gisaeng). And this article counted Bukjeon(北殿) as the root of sung by women. Bukjeon was sung by Ginyeo from Koryeo(高麗) Dynasty. As a Koryogayo(高麗歌謠), Bukjeon was famous for sexual expressions. In the JoSeon(朝鮮) Dynasty, Bukjeon became a rhythm of Sijo sung by women, and produced various mode of Sijo sung by women. The last period of JoSeon(朝鮮) Dynasty, Bukjeon was specialized into PyeongJo(平調:a plane rhythm) and Ujo(羽調, a robust rhythm). Also, Bukjeon was sung by alternation of men and women in the official/private feast.
In 19th century, a Sijo sung by women was highly popular to peoples, especially to women similar status to singer herself. owing to fast rhythm and narrative form, people could approach to women's Sijo easily. That is to say, women inserted her livings and emotion to Sijo. In this situation, Sijo sung by women could exchange contents with other mode of women's songs. As a result, we can read feminity in the works written or sung by women lived in JoSeon(朝鮮) Dynasty.
목차
Ⅰ. 서론
Ⅱ.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
Ⅲ. 여창 시조의 향유 방식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李箱詩 「烏瞰圖」의 詩 第一號의 리듬 연구
- 광복 이후 문학주의와의 투쟁을 전후한 민족 문학 논쟁 연구
- 구약 『아가』의 환언과 대용형 연구
- 시의 일탈이 보여주는 저항과 자유에의 질주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 <권익중전>의 사실성과 환상성
-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분석 요소
-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 안민가(安民歌)의 원형적 상징성
- 漢語와 韓語의 漢字語彙 對比
- 白石 詩 硏究
- ‘여러’의 어원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 대학생 特殊語의 사회학적 기능
-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 월인석보의 의존명사 연구
-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