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Pedagogy of Critical Media Literacy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정현선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7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국어교육의 맥락에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에 대한 교육’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 때 미디어란 특정한 관점과 담론을 매개하는 소통적 미디어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며, 따라서 인쇄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점에서 인쇄매체를 기반으로 했던 전통적인 국어교육이 의사소통의 교육이라는 보다 큰 의미에서 미디어 교육을 수용하는 정당성이 확보된다. 비판적 미디어 분석은 영국영화연구소에서 개발된 것으로 미디어를 언어, 재현/표상, 제작, 수용자의 관점에서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교수 전략이다. 비판적 미디어 분석은 구체적인 교수 전략의 측면에서 텍스트 분석, 컨텍스트 분석, 사례 연구, 미디어 간 변환, 시뮬레이션, 제작 등 여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본고는 각각 사례를 들어 논의하고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이론과 실천이 자라난 영국의 역사 사회적 담론에 대해 논의하고, 그 구체적인 교수 전략을 적용한 현장 사례를 세 가지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미디어 교육에 대한 일종의 ‘사회학적’ 분석 내지 ‘읽기’ 중심의 접근법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보다 창의적인 교육을 중시하는 대중예술적 접근 혹은 ‘쓰기’ 중심의 접근법과 적절히 결합하여 국어교육에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pedagogy for critical media literacy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le media education is defined as 'teaching about the media', the term 'media' needs to include any kinds of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print-based media, which mediate particular perspectives and discourses. Critical media analysis was introduced by British Film Institute and it mean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dia in terms of language, representations, production and audiences. The teaching strategies for critical media analysis incluide textual analysis; contextual analysis; case studies; translations; simulations; productions. This article discusses the brief history of media education particularly in Britain, and then moves to discuss how these 6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classroom practices through 3 case studies of distinct practices. Lastly, I argue that these 'sociological' and 'reading' approaches to media education need to be integrated with 'popular art'-based, 'writing' approaches.

목차

1. 비판적 미디어 읽기
2. 미디어 교육 담론의 역사적 흐름
3. 미디어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전략
4. 비판적 미디어 읽기 교육의 실제 사례
5. 디지털 시대 국어교육의 미디어 교육적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선. (2004).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새국어교육, (), 91-118

MLA

정현선.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새국어교육, (2004):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