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ontrast of Baek, Seok's Pome and Kim, Dong-ri's Novel: Focusing on Nature of Local Custom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차호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7호, 375~3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백석과 김동리는 그들의 중심 장르가 다르지만 다같이 문학적 토양을 토속성에다 두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 토속성이 작품에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매우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백석의 토속성은 체험에 바탕을 둔 것임에 비해 김동리의 토속성은 어디까지나 상상력에 바탕을 둔 창작적 세계이다. 둘째 백석은 이런 토속성을 그대로 소재로 수용하였으나 김동리의 경우는 이를 변용하거나 또는 재창조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셋째 토속성이 백석의 시에서는 공동체 회복의 역할을 하는데 비해 김동리의 소설에서는 토속성이 서구성 극복을 위한 방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지금까지 우리는 토속성을 우리 문학의 전통으로 생각해오지 않았다. 그러나 토속성은 실제로 많은 작가들에 의해 이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우리 문학의 전통성 연구에서 토속성 문제는 반드시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ek, Seok differs from Kim, Dong-ri in his main literary genre, but they have common feature in nature of local customs. Their nature of local customs have excellent contrast, that is, Baek, Seok consolidates the foundation for experience, but Kim, Dong-ri consolidates the foundation for power of imagination, second, literature of Baek, Seok accepts nature of local customs in work as it is, but Kim, Dong-ri alters nature of local customs or re-creates nature of local customs, third, Baek, Seok points to recovery of commonalty through nature of local customs, but Kim, Dong-ri points to conquest of the West through nature of local customs. So far, we have not thought that nature of local customs is one of tradition in our literature. But many korean authors have put local customs in their works. If so, we must recognize that the nature of local customs take its place in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at is, the nature of local customs is one of the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
목차
1. 들머리
2. 체험 이야기 대 상상력 그리기
3. 수용 대 변용 또는 재창조
4. 공동체 회복 대 서구성 극복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李箱詩 「烏瞰圖」의 詩 第一號의 리듬 연구
- 광복 이후 문학주의와의 투쟁을 전후한 민족 문학 논쟁 연구
- 구약 『아가』의 환언과 대용형 연구
- 시의 일탈이 보여주는 저항과 자유에의 질주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 <권익중전>의 사실성과 환상성
-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분석 요소
-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 안민가(安民歌)의 원형적 상징성
- 漢語와 韓語의 漢字語彙 對比
- 白石 詩 硏究
- ‘여러’의 어원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 대학생 特殊語의 사회학적 기능
-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 월인석보의 의존명사 연구
-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