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이용수 0
- 영문명
- An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on Literacy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7호, 2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학제성을 바탕으로 하여 문식성 발달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논의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방법적 개념을,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하여 학제적 차원에서 수용하는 관점을 취하였다. 이 글에서 주목한 방법적 개념은 진화재연(recapitulation)인데, 이 개념은 진화생물학에서 태동하여 과학 전반을 이끌어온 핵심적인 개념이다. 이 글은 진화재연의 방법적 개념이 문식성 발달에서 학제적으로 수용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적으로 문식성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진화재연의 방법적 개념을 학제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인정되며, 이에 바탕을 반복적 구조가 문식성 발달의 장면에서도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독서에서는 독서 형태의 이행 과정, 텍스트 해석의 권위의 해체 과정이 문화사(계통발생) 및 개인사(개체발생)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문에서는 표기 형태의 이행 과정, 작문 가치의 변모 과정이 문화사 및 개인적 발달사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cal concept for literacy development. Specially this paper concentrated on 'recapitulation' came from evolutionary biology as methodological concept. Recapitulation has been functioned as a principle and a keyword of natural science theory till the now.
This paper examined possibility of recapitulation as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cal concept for literacy development, and discussed the explanation capability of recapitulation based on the possibility with it. This paper concluded that it was natural to accept recapitulation as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cal concept for literacy development, and that the structure of recapitulation existed in facet of literacy development. Above all the same structure of recapitulation in both 'Cultural History' and 'Individual History' was identified that oral reading transition to silent reading and authority of interpretation transition to deconstruction in reading, and that the transform of inscription types and the transition of composition values
목차
1. 서론
2. 방법적 개념의 가능성
3. 문식성 발달과 진화재연의 구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李箱詩 「烏瞰圖」의 詩 第一號의 리듬 연구
- 광복 이후 문학주의와의 투쟁을 전후한 민족 문학 논쟁 연구
- 구약 『아가』의 환언과 대용형 연구
- 시의 일탈이 보여주는 저항과 자유에의 질주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 <권익중전>의 사실성과 환상성
-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분석 요소
-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 안민가(安民歌)의 원형적 상징성
- 漢語와 韓語의 漢字語彙 對比
- 白石 詩 硏究
- ‘여러’의 어원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 대학생 特殊語의 사회학적 기능
-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 월인석보의 의존명사 연구
-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