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Ambiguity of Standard Adjectiv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준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7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척도형용사의 다의성을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인간 언어의 기본적 특성 가운데 하나인 다의성은 기본의미와 파생의미로 다발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미확장의 방향은 대체로 공간성에서 시간성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척도어는 공간성에서 구체성, 시간성, 추상성, 관용성의 순서로 의미확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척도어들은 의미가 전이되면서 가치론적인 상황을 띠게 되는데 긍정성과 부정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들 척도어들의 가치 상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척도어들이 방향성의 의미와도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방향상의 상태가 나타나는 양상에 대해서 고찰했다. 한편 척도어들의 다의성과 관련하여 척도성에 대한 논의도 시도했는데 척도성의 정도는 대립어와의 대응 여부에 따라서 그 정도가 판단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그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끝으로 성분분석적 입장에서 척도어들의 관용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영문 초록
I took up this study to examine an ambiguity of standard adjective. An ambiguity is one of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uman language, which make up a cluster as a basic and derived meaning. Judging from this viewpoint the meaning of polysemy language is usually extended from space to time, while that of standard language is orderly widened from space to concreteness, time, abstraction and idiomaticness. And as these standard languages are separately changed into other meaning, they are charged with the valuable meaning.
Thus, I examined into the value level of them based on the affirmative and negative concept.
Given that they have a directional significance, I also studied a directional phase.
Meanwhile, I inquired into the standard related to the ambiguity of them to understand the standardized phase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ized level based on the yes or no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m and confrontation languages.
Finally, I investigated the idiomatic meaning of them from the constituent analytic angle.
목차
1. 서론
2. 척도어의 의미 양상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李箱詩 「烏瞰圖」의 詩 第一號의 리듬 연구
- 광복 이후 문학주의와의 투쟁을 전후한 민족 문학 논쟁 연구
- 구약 『아가』의 환언과 대용형 연구
- 시의 일탈이 보여주는 저항과 자유에의 질주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 <권익중전>의 사실성과 환상성
-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분석 요소
-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 안민가(安民歌)의 원형적 상징성
- 漢語와 韓語의 漢字語彙 對比
- 白石 詩 硏究
- ‘여러’의 어원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 대학생 特殊語의 사회학적 기능
-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 월인석보의 의존명사 연구
-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